이번 당정 개편의 특징은 ‘측근 돌려막기식’ 인사를 통한 ‘친정체제’ 강화로, 여기에는 내년 9월로 예정된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해 임기 말인 2018년까지 총리직을 이어가겠다는 아베의 장기집권 노림수가 깔려 있다.
무엇보다 이번 내각·자민당 개편이 우려되는 점은 더욱 노골적인 우경화 색채를 드러낸 ‘아베 2기 내각’ 진용의 면면이다.
아베 정부는 새 내각 각료 중 80%를 ‘극우 세력의 사령탑’으로 불리는 ‘일본회의’ 소속 각료들로 포진시켰다. 이번 새 내각의 출범을 통해 아베의 우경화를 향한 폭주가 더욱 강력해지고 장기화될 것임은 자명하다.
이 같은 한일 관계 전망이 더욱 우려되는 이유는 최근 중국과 일본간에 조성되고 있는 관계회복 기류 때문이다.
오는 11월 베이징에서 열리는 APEC에서 중일 정상회담이 성사되면서 양국 관계가 신국면으로 진입할 것이라는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예상 밖의 중일 관계 개선 조짐에 한국의 대일외교 셈법은 더욱 복잡해질 전망이다. 한국과 역사 역행 및 우경화 대한 대일본 압박 공조를 유지해온 중국이 일본과 손을 잡는 상황이 벌어지면 한국의 외교적 입지는 더욱 좁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일 양국 관계 파탄의 근본적 책임은 ‘독불장군식 외교정책’을 펼치고 있는 일본에 있지만, 동북아를 둘러싼 이 같은 전망들을 고려할 때 우리 정부는 지금 이 시점에서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더욱 현명한 외교 탄력성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번 개각에 따라 박 대통령이 임기 내내 '극우 아베 내각'을 상대해야 할 공산이 커진 만큼, 장기 외교전에 돌입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