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수출 단위당 일자리 창출 효과는 감소됐으나 지속적인 수출 확대로 수출의 취업유발 인원 수와 총 취업자 중 수출에 의해 유발된 취업인원 비중은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오상봉)은 11일 발표한 ‘수출과 고용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내수 중소기업의 수출산업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수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전체 일자리 창출에는 여전히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2013년 평균 실질 수출증가율은 11.6%로 경제성장률(5.4%), 소비(4.7%), 투자(4.8%)를 크게 상회했다. 수출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수출에 의한 취업유발인원 수는 1990년 360만명에서 2012년 600만명으로 증가했고, 총취업자수 대비 비중도 같은 기간 22.5%에서 25.9%로 확대됐다.
보고서는 또한 향후 수출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기 위해서는 내수 중소기업의 수출기업화와 수출률이 낮은 소비재 및 서비스의 수출산업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통계청의 ‘광업-제조업 조사’에 따르면 2012년 중소기업의 고용계수(종사자수/부가가치액)는 10억원당 9.9명으로 대기업(2.8명)을 크게 상회하고 있어 내수 중소기업의 수출기업화에 따른 고용유발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2012년 기준 소비재와 서비스의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당 13.7명과 18.0명으로 공산품 평균(8.5명)보다 현저히 높지만, 수출률은 소비재와 서비스 각각 18.9%와 6.7%로 공산품 평균(39.1%)을 크게 밑돈다. 즉, 소비재와 서비스 수출률(수출액/총산출액×100) 제고를 통한 취업유발효과를 노려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오세환 무협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내수에만 머물러 있는 중소·중견기업의 수출기업화 및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를 통한 소상공인의 해외판로 개척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면서 “문화 콘텐츠 및 의료 분야의 해외 진출 확대 등 서비스 수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