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은행의 '2005 아시아국제산업연관표로 본 한국의 경제구조' 보고서를 보면 지난 2005년 한국 경제의 자국 내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0.757로, 일본(0.877), 미국(0.864), 중국(0.773)보다 낮았다.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최종 수요 1단위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부가가치의 크기를 뜻하며, 0.757의 자국 내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국내 소비나 투자 등으로 1000원의 최종수요가 발생할 때 한국에서 창출된 부가가치는 757원에 그쳤다는 의미다.
나머지 부가가치는 일본(33원), 미국(24원), 중국(20원), 인도네시아(6원), 싱가포르·말레이시아·대만(각 3원), 태국·필리핀(각 1원) 등 분석 대상 역내 9개국에서 94원가량이 유발됐다. 148원은 유럽, 인도 등 역외 지역에서 만들어졌다.
주요 산업별로도 자국 내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한국이 일본에 훨씬 못 미쳤다. 2005년 현재 △자동차는 한국이 0.697인 데 비해 일본은 0.868에 달했고 △반도체는 한국이 0.524, 일본이 0.835 △영상·음향 및 통신기기는 한국이 0.510, 일본이 0.776 △철강은 한국이 0.588, 일본이 0.800이었다.
한국은 원자재, 중간재 등 대외 의존도가 높고 총산출 대비 부가가가치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자국 내 부가가치 유발계수가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중간재의 국산품 사용비율인 국산화율은 한국이 77.5%로 미국(89.9%), 일본(89.4%), 중국(87.6%)에 비해 10% 포인트 이상 낮은 수준이고 총산출 대비 부가가치율은 42.0%로 미국(53.0%), 일본(51.7%), 인도네시아(50.6%) 등에 밀렸다.
다만, 한국의 자국 내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대만(0.670)이나 아세안 5개국 평균(0.593)보다는 높았다.
역내국별로 최종수요 1000원당 한국에 유발된 부가가치는 말레이시아가 14원으로 가장 크고 중국(13원), 태국(9원), 대만(8원), 싱가포르(7원), 인도네시아·필리핀(각 6원), 일본(3원), 미국(2원) 등 순이다.
2005년 한국 경제의 총부가가치 가운데 74.8%는 국내 최종수요에 의해 유발됐고 나머지 23.4%는 다른 나라의 최종수요에 의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이 보고서는 일본 아시아경제연구소 주관으로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대만 등이 공조해 산업의 상호의존 관계를 파악하고자 5년 단위로 작성하는 국제산업연관표를 분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