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치연 기자 = 중국 정부가 발표한 폴리실리콘에 대한 강력한 수입 규제안이 OCI와 한화 등 국내 태양광 업체에게 호재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18일 중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와 해관총서는 오는 9월 1일부터 태양광용 폴리실리콘에 대한 가공무역 수입업무를 중단하기로 했다. 다만 9월 1일 이전 상무부 관련 부서에서 허가를 받은 가공무역에 대해서는 유효기간을 연말까지 연장키로 했다.
일각에서는 오히려 미국과 유럽 업체들의 공백을 발판 삼아 국내 업체들이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국내 업체들이 대부분 최저 관세율 수준의 판정을 받아 중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내놓기도 한다.
지난 1월 중국 상무부는 미국산 폴리실리콘 제품에 대해 53.3∼57%, 한국산 제품에 2.4∼48.7%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국내 폴리실리콘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OCI는 2.4%, 한국실리콘은 2.8%를 부과받는 데 그쳤다. 한화케미칼과 삼성정밀화학은 12.3%를 통보받았다.
특히 OCI와 한국실리콘이 받은 2%대의 덤핑 관세율은 시장에서 선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덤핑 관세율이 2% 미만이면 아예 반덤핑 관세를 부과받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국내 폴리실리콘 업체들에게 이번 수입 규제가 호재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배경도 이같은 관세율 때문이다. 중국 내 국가별 폴리실리콘 수입량은 미국, 유럽, 한국 순이며, 이들 국가에서 들어오는 물량이 중국 전체 수입량의 87.5%에 달한다.
중국은 전 세계 폴리실리콘 수요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최대 시장이다. 올해 중국의 폴리실리콘 예상 수요는 최대 20만t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폴리실리콘 생산량을 10만t 전후로 추산하면 수요 절반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현지 업계에 따르면 중국 5대 폴리실리콘 업체의 생산량은 10만6000t 수준으로, 중국은 올해 최대 10만t의 폴리실리콘을 수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국의 수입 규제 강화에 따라 국내 업체들의 점유율이 얼마나 확대될 지 주목된다.
지난해 중국이 수입한 폴리실리콘 가운데 한국산 제품이 차지한 비중은 27% 수준이다. 독일이 32%로 가장 높았고, 미국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28%를 유지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체 생산 물량의 절반 이상을 중국에 공급하는 OCI는 올해도 안정적인 수출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올해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폴리실리콘 생산에 나설 한화케미칼, 한국실리콘 등의 물량을 중국에 얼마나 수출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금융투자업계는 중국의 이번 수입 규제가 국내 업체 가운데 OCI에는 긍정적, 한화케미칼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위 우리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이번 조치로 인해 중국의 미국산 폴리실리콘 수입이 감소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국내 업체들의 중국 내 폴리실리콘 수급이 안정화될 것"이라며 "특히 OCI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 6월 한국과 독일산 폴리실리콘 평균판매단가(ASP)가 각각 21.1달러/kg, 24.2달러/kg로 14.7%의 가격 차이가 있어 OCI에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독일산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김 연구위원은 "한화케미칼은 상당 부분의 폴리실리콘을 중국 장쑤성 랜윈강에 있는 솔라원에 수출하고 있다"며 "관세 적용에 따른 솔라원의 원가 상승이 점쳐짐에 따라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