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전국 주택 매매가는 0.78%, 전셋값은 1.86% 상승했다. 매매가는 지방이, 전셋값은 서울·수도권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전국 주택 매매가의 경우 지난해 8·28 대책에서 나온 공유형 모기지와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등의 영향으로 매매전환 실수요자들이 늘어 10개월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2·26 대책 이후 투자심리가 위축돼 관망세가 확대되면서 상승폭이 줄었고 서울·수도권의 경우 4월부터 3개월째 하락세다. 지방 역시 상승폭이 둔화됐다.
지역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 동안 서울·수도권은 0.60%, 지방은 0.94% 상승했다. 대구(3.54%)·경북(2.36%)·충남(1.34%) 등은 상승한 반면 전남(-0.43%)·전북(-0.30%)은 하락했다.
전세시장의 경우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집주인들의 월세 선호 현상과 세입자들의 전세 선호 현상이 이어져 수급 불균형이 확대되는 추세다.
서울·수도권에서는 서울에서 수도권 외곽으로 이주하는 수요가 늘었고 지방 주요 산업단지가 위치한 지역은 근로자 유입에 따른 수요 증가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최근 들어 계절적 비수기와 맞물려 연초에 비해 상승폭은 둔화됐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수도권은 2.57%, 지방은 1.20% 상승했다. 대구(3.47%)·인천(2.98%)·경기(2.85%)·서울(2.05%) 순으로 상승했다.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셋값 비율)의 경우 지난해 말 61.8%에서 지난달 62.5%로 소폭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지방(0.3%포인트 상승) 에 비해 서울·수도권(1.2%포인트 상승)이 상대적으로 큰 상승폭을 기록한 가운데 경기(1.4%포인트 상승)에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
감정원은 하반기 매매시장은 정부의 임대소득 과세 완화 여부와 재건축단지의 사업추진 속도 등이 시장의 향방을 가를 것으로 예상했다.
감정원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등 금융규제 완화와 임대소득 과세 완화 등 소득세법 개정,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폐지 등 현재 논의 중인 사안들의 법안통과시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임대소득 과세 가능성에 관한 불안심리와 1000조원을 넘는 가계신용대출로 인한 소비침체 등이 주택구매심리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