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중국비즈(1)]중국, 와인소비도 G2대국

2014-02-19 12:04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중국 베이징 시내의 번화가인 싼리툰(三裡屯) 인근에는 ‘주바제(酒吧街)’라고 불리는 거리가 있다. 이 곳에는 비좁아보이는 4차선 도로 양쪽으로 약 50여개의 바(bar)가 줄지어있다. 외국인 관광객들은 이 모습만으로도 압도되는 듯한 감정을 느끼곤 한다. 주바제를 걷다보면 각 술집들이 뿜어내는 화려한 네온싸인 불빛과 시끄러운 음악소리에 현재 중국의 풍요로움이 저절로 체감된다. 이 주바제 술집들의 영업은 저녁 10시가 넘어서면 피크를 맞는다. 7시부터 술집 바깥에서 호객행위를 하는 젊은 아르바이트생들도 이시간이 되면 거리에서 호객행위를 하지 않는다. 더 이상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술집들은 젊은 남녀들로 빼곡히 차고, 흥겹고 즐거운 분위기에 손님들이 무대로 나와 객원가수들과 노래를 하기도, 춤을 추기도 한다. 중국인들은 한국인과 달리 낯가림을 하지 않는다. 처음 만난 사이에도 쉽게 말을 섞고 술 한잔에 친구가 된다. 새로 친구를 사귀게 되면 술을 따르는 손이 바빠지게 마련이다.

이 술집들은 바이주(白酒)를 팔지 않는다. 대신 맥주와 와인을 판다. 대학생차림으로 보이는 친구들은 맥주를 마시고, 양복이나 세미정장 차림의 직장인들은 주로 와인을 마신다. 얼핏 보아도 손님들의 1/3은 나초나 얇은 피자, 치즈케익같은 간단한 안주거리를 시켜놓고 와인을 마신다. 이들 젊은 소비자들이 중국을 미래 세계 최고의 와인시장으로 밀어올린 원동력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중국의 중장년층은 바이주 문화에 익숙해 있어 그다지 와인을 즐기지 않는다. 하지만 20~30대의 와인에 익숙한 젊은층들이 주력 소비계층으로 떠오를 10년후면 중국의 술문화 무게중심은 와인으로 쏠려 있을 것이다.
◆와인소비량 5년동안 2배이상 늘어

국제와인기구(IOV)에 따르면 2012년 중국 와인 소비는 전년 대비 9% 증가한 17억8000만ℓ였다. 2008년 대비로는 27% 증가한 것이다. 전 세계 와인 소비량은 245억ℓ로 전년 대비 0.6% 상승하는데 그쳤다. 중국이 전 세계 와인 소비를 이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특히 두드러지는 것은 중국의 수입와인 소비다. 2007년 이후 중국의 수입와인 소비량은 연평균 55% 성장했으며, 앞으로 5년 동안 수입와인과 국산와인시장이 각각 연간 15%, 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2018년 수입 와인 소비량은 7000만 상자(1상자: 750mℓx12병)에 달하고 중국 와인 총 소비량은 2억5800만 상자로 세계 2위의 와인 소비국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중국은 세계 5위의 와인 소비시장이다. 연간 소비량은 1억8000만 상자며, 그 중 수입 와인은 3600만 상자다. 세계 1위 소비국은 미국으로 3억1500만 상자다.

중국 차이푸(财富)품질연구원이 발표한 ‘2013중국와인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 동안 중국 1인당 와인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2002년 0.25ℓ에서 2012년 1.31ℓ로 5배 이상 증가했다. 중국 와인 수입액은 2010년, 2011년 큰 폭으로 늘어나 각각 전년 대비 74.7%, 79.8% 증가했으며 2012년에는 상승폭이 9.9%로 낮아졌지만 성장세를 이어갔다. 2013년 1~3분기 와인 수입액은 12억786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 늘었다.

현재 중국 연간 와인 소비량은 18억ℓ로 그 중 약 25%가 수입와인이다. 중국해관(관세청)에 따르면 중국 수입 와인의 60%가 유럽산이며, 그 중 35%는 프랑스산이었다. 중국 고급 와인시장을 프랑스산 유명 브랜드가 주도하지만 칠레산, 호주산 등이 우수한 품질과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시장은 향후 3~5년 내 시장이 다극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와인소비는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다. 2012년 와인 총 수입액 15억8036만 달러 중 지역별 수입액 1위는 국제도시 상하이시로 5억3012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 뒤로 광둥성(3억3488만달러), 산둥성(1억5546만 달러), 베이징시(1억1269만 달러) 등이 차지했다. 최근 각 성도와 직할시가 주요 2∙3선 도시를 중심으로 한 경제 발달에 힘쓰고 있어 해당 도시의 고급 와인시장 성장 잠재력이 거대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와인 판매상들이 여러 형태로 판로를 개척하면서 2∙3선 도시, 나아가 4선 도시까지 확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원저우(温州), 선양(沈阳), 타이위안(太原) 등은 고급 와인 소비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 와인업체의 굴기

영국의 와인전문잡지인 ‘하퍼스’는 2012년 세계 8위의 와인 생산국인 중국은 2016년이면 이탈리아와 칠레를 제치고 세계 6위의 생산국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 또한 5년내 중국 와인 생산량이 54% 증가해 1억6600만 상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제와인기구(OIV) 역시 ‘2013년 세계 포도주 사업 통계 보고’에서 2012년 세계 총 포도 재배면적은 752만8000㏊로 2000년의 784만7000㏊보다 31만9000㏊ 감소했지만, 중국 포도 재배면적은 2000년(30만㏊) 대비 27만㏊ 증가한 57만㏊로 세계 4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1위에서 3위 국가는 스페인(101만8000㏊), 프랑스(80만㏊), 이탈리아(76만9000㏊)였다.

2012년 중국 와인 생산량은 13억8000만ℓ로 전년대비 16.9% 증가했다. 현재 중국의 주요 와인 생산지는 산둥(山東), 지린(吉林), 랴오닝(遼寧), 허난(河南), 허베이 (河北), 신장(新疆), 닝샤(寧夏), 산시(陕西) 등지다. 그 중 산둥성의 2012년 와인 생산량은 4억6700만ℓ로 전년 동기 대비 6.49% 증가했다. 이는 중국 총 생산량의 33.81%에 달한다.

장위(張裕), 창청(長城), 화동(華東), 웨이롱(威龍), 왕차오(王朝) 등 중국 내 유명 와인 브랜드 모두 자체 저장고를 건설했으며 중국 최대 바이주 브랜드 마오타이도 와인 저장고 건설에 3억2000만 위안을 투자해 연간 1000톤의 고급 와인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중국 브랜드의 와인 생산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2002년 2억8000만ℓ에서 2012년 13억8000만 ℓ로 약 5배 성장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75%다. 그 중 생산 능력이 1만톤 이상인 와인 생산 기업은 장위, 왕차오, 창청, 웨이롱, 펑서우(豐收), 퉁화(通化) 등이며 창청, 장위, 왕차오 3개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52%, 총 매출액은 전체 시장의 56%다.

그동안 승승장구해온 중국의 와인업체지만 2013년 시작된 시진핑 국가주석의 정풍운동의 영향을 빗겨나지는 못했다. 장위의 2013년 1~3분기 매출액은 33억4900만 위안으로 2012년의 41억2000만 위안 대비 18.8% 하락했으며, 순이윤은 8억69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28% 줄었다.

◆세계 와인농장 매입 나선 중국

와인시장의 성장세만큼이나 중국 업체들의 세계 와인농장 매입도 매섭다. 1820년대 호주에서 가장 먼저 포도 나무가 심어진 헌터 밸리에서는 2012년 중국인 투자자들이 6개 와인 양조장을 매입했으며 3개 양조장은 현재 인수 작업중이다. 세미용과 쉬라즈 포도가 생산되는 헌터 밸리 지역의 포도 농장 가격은 2008년 이후 20%나 떨어졌지만 중국인 투자 덕분에 이 지역 126개 포도 농장 가격이 더 이상 떨어지지 않고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 샤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윈스턴 와인은 지난해 7월 호주 양조장 한 곳을 매입하고 헌터 밸리에 있는 와인 농장 두 곳도 추가로 인수했다. 중국 보석 전문 그룹 테시로는 지난해22만㎡ 규모의 프랑스 보르도 지역의 '샤토 롤랑 뒤코' 와인 농장을 매수했다. 테시로의 사장은 "와인 생산의 전 과정을 이해하고 싶어 농장을 매입했다"며 "회사 이미지를 높이는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와인사업을 확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셈이다. 중국이 프랑스 보르도의 포도주 농장을 사 들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8년 라투르 라귀앙스, 2009년 리셸류, 2010년 셰뉘 라피트에 이어 샤오 비오까지 모두 중국인의 손에 넘어갔다. 

중국의 로컬 와인브랜드로 매년 9300만병 이상의 와인을 생산하고 있는 창청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양조장들이 많다"면서 "우리에게는 양조장을 매입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와인숖에 중국산 와인이 등장할 날도 그리 멀지 않은 것 같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