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도자기업체들이 앞다퉈 고급화에 힘을 쏟고 있다. 이러한 기조는 국내를 넘어 해외시장에서도 이어지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국내 생활용품 시장 규모는 2조 5000억원이다. 특히 밀폐용기와 주방용품을 앞세운 식기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도자기 수요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더욱이 락앤락과 삼광글라스 등 밀폐용기 업체들이 주방용품과 테이블웨어로 라인업을 확대해 시장에 연착륙했고, 연내 국내 진출이 확정된 이케아의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다.
실제로 이케아의 전체 매출에서 생활소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50%에 달한다. 식기 및 주방관련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상당하다.
이케아식 대형매장이나 전문샵을 표방해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넓힌 가구사들의 물량공세도 업계 입장에선 상당한 위협이다.
이에 업체들은 칼을 꺼내 들었다. 고급화라는 확실한 차별화와 포지셔닝의 필요성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그 선두주자는 한국도자기다.
한국도자기는 지난 2004년 일찌감치 프리미엄 브랜드 '프라우나'를 론칭하며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시켜 왔다.
프라우나는 기존 타겟소비층이었던 중장년층은 물론, 해외제품 선호도가 뚜렷하던 젊은층의 호응도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실제로 한국도자기가 수출을 통해 올리고 있는 매출의 60% 가량은 프라우나에서 나온다. 수출대상국도 미국ㆍ영국 등에서 중국과 러시아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다. 최근 열린 독일 앰비엔테에서는 500만달러 이상의 수출실적도 기록했다.
광주요도 지난해 말 프레스티지 라인인 '뉴 클래식'을 선보이며 자신들만의 노선을 확실히했다. 앞서 광주요는 창립 50주년을 맞아 현대 작가들과의 협업으로 탄생한 '스튜디오 라인'을 론칭해 호응을 얻었다.
최근 해외관광객객들의 유입 증가에 발맞춰 호텔 한식당 등에 특화된 도자기와 그릇세트를 납품하는 등 특판 부문에서도 재미를 보고 있다. 광주요의 특판 매출은 최근 3년간 두자릿수가 넘는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에 한 업계 관계자는 "도자기 소비 부문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상당히 심화된 상태다. 확실한 '셀링 포인트'가 없으면 경쟁력을 갖추기 힘들다"며 "도자기의 특성 상 값싼 제품보다는 비싸더라도 품질로 승부하는 제품들에 대한 업체들의 관심이 높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