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지난 8일까지 기준으로 올해 서울·수도권 아파트가 경매에 나와 낙찰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66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일 줄었다. 아파트를 포함한 주거용 물건의 낙찰 소요 기간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일 줄어든 75일로 집계됐다.
이는 경매 입찰자가 급증하면서 유찰 사례가 크게 줄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해 초만 해도 2~3회 유찰되는 물건이 상당수였지만 경쟁자가 늘면서 입찰 타이밍도 그만큼 빨라졌다는 것이다.
올해 서울·수도권 아파트 경매 입찰자는 전체 주거용 물건 입찰자(2만8965명)의 68%인 1만9728명에 달했다. 2005년(2만503명) 이후 8년 만에 가장 많이 몰린 것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45.3%(6147명) 증가했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취득세 감면 호재와 지속적인 전·월세 가격 상승세가 맞물리며 아파트 구매 수요를 자극했다”며 “2011년 이후 서울·수도권 아파트값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면서 ‘바닥론’이 퍼진 것도 한몫했다”고 말했다.
경매시장에 수요가 몰리면서 낙찰가율과 경쟁률도 덩달아 올랐다. 올해 서울·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75.98%로 전년 동기 대비 3.37%포인트 상승했다. 입찰 경쟁률 역시 5.51대 1에서 6.19대 1로 올랐다. 같은 기간 다세대 낙찰가율이 3.1%포인트, 다가구 낙찰가율이 15.3%포인트 떨어진 것과는 대조적이다.
업계에서는 아파트 경매 열기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정부의 '4·1 부동산대책'이 발표되면서 향후 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더욱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정부가 시장활성화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될 전망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4·1 부동산 대책’으로 향후 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며 “경매시장은 부동산시장의 선행지표로 여겨지는 만큼 이같은 열기가 매매시장으로까지 확산될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 대책이 국회를 통과해야 하는 만큼 발효시점이 아직 불확실하고 일부 내용이 수정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정대홍 팀장은 "섣부른 낙관론은 오히려 경매시장에 혼란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며 "입찰 예정인 물건의 인근지역 낙찰 사례부터 수집하고 수익률을 차분히 분석해보는 등 보다 다각적인 정보 활용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