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핵심공약인 창조경제의 실천이 늦춰지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해 최 수석이 직접 나선 것이다.
미래전략수석실은 미래부 장관이 정식 임명될 때까지 창조경제를 실천할 부처 고위 공무원들을 수시로 불러 현안을 점검하고, 140개 국정과제 가운데 창조경제 관련 부분을 끄집어내 로드맵을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최 수석은 창조경제에 대해 "창조경제는 나무를 심는 것에 비유하자면 씨를 뿌리는 것과 같다. 미래부가 담당하는 건 많은 부분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민 삶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지금 선진국으로 가는 데 있다. 옛날같이 다른 나라가 쉽게 쫓아올 과학기술, 정보기술(IT)로는 일자리 창출을 못한다"며 "이노베이션은 점진적인 변화도 있지만 근본적 변화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수석은 유엔(UN) 정보통신기술국장을 지낸 IT 분야의 국제적인 전문가다. 새 정부의 창조경제 핵심과제 중 하나인 과학기술 분야를 총괄할 적임자로 꼽힌다.
1981년 IMF에 입사해 2004년부터 2007년 2월까지 정보기술총괄실장을 맡았다. 당시 IMF에서 일하는 한국인 직원 가운데 가장 높은 직급에 오른 것이다. 2007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 의해 전격 발탁된 그는 유엔 내부에 신기술을 도입하는 일부터 기술 정책을 수립하는 일까지 관련 업무 전체를 총괄해 능력을 인정받았다.
서강대 전자공학과 69학번인 최 수석은 박 대통령의 같은 과 1년 선배다. 최 수석은 IMF에 재직 중이던 2000년대 중반 국내에 일시 귀국했다가 지인들의 소개로 박 대통령과 만나 정책 조언을 하면서 인연을 맺었다. 이후 유엔 근무를 마치고 지난해 10월 박근혜 캠프의 과학기술 특보를 맡았다.
박 대통령은 최 수석의 전문지식과 오랜 국제경험을 높이 평가하며 새 정부의 창조경제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겼다.
그에게는 미래전략을 강화하고 ICT·과학기술, 기후변화 등의 국정 과제를 조정하면서 과학기술과 ICT를 산업에 접목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가 주어진 것이다.
최 수석은 "앞으로 상상력·창의성·과학기술에 기반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조하고, 혁신적 융합으로 새로운 일자리와 시장을 만들어 국민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