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는 지난해 11월말 은행과 계열 저축은행간의 연계영업을 시행하고, 관련 상품을 출시했다.
연계영업은 은행 지점을 찾은 고객이 대출을 거절당했을 경우 조건이 한 단계 완화된 저축은행 상품을 은행 창구에서 직접 연결해 주는 것이다.
국민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지난해 11월 26일 KB저축은행과의 연계상품 ‘원스탑론’을 출시했지만, 해당 상품을 이용하는 고객이 적어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현재 은행에서 연계상품 판매와 서류접수 대행을 진행하고 있지만, 초기 단계라 실적이 저조해 공개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하나은행도 하나저축은행과 연계한 ‘더마니론’을 출시한 지 2개월이 다 돼가지만, 대부분 소액 중심이고 연계영업도 소개영업 정도에 그치고 있다.
신한금융지주도 신한은행과 신한·동부·한신저축은행 등과 연계영업을 위해 업무위탁신고를 해둔 상태다. 하지만 연계영업에 대한 기대치가 떨어지면서 연계상품 개발이 더딘 상황이고, 승인이 나도 당분간 소개영업에만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금융지주와 계열 저축은행간 연계영업이 선행적으로 이뤄져야 나머지 저축은행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현재 금융지주사들이 계열 저축은행 정상화에 주력하고 있기 때문에 타 저축은행들이 연계영업으로 큰 실적을 기대하긴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게다가 시중은행들이 서민금융의 일부 역할을 도맡아 신용등급 6~7등급 고객에게도 대출의 문을 열고 있어, 고객 입장에서는 높은 이자의 저축은행 상품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이 관계자는 "상호금융이 비과세 혜택으로 반사이익까지 보고 있어 저축은행 고객이 줄어들고 있다"며 "현재로썬 저축은행의 예금과 대출비율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당분간 수신을 줄여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정상화가 힘든 것은 예금보험공사 소유의 가교저축은행도 마찬가지다. 가교저축은행 매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예보는 이번 주부터 예쓰·예나래·예솔 등 3개 저축은행에서 서민층을 위한 10%대 중금리 소액신용대출을 판매키로 했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대출 수요 자체가 적은 상황이어서, 이 역시 정상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상황이 악화되자 부실 저축은행의 추가 영업정지도 또다시 거론되고 있다. 다음 달 경영개선명령을 받은 두 저축은행과 지난해 영업정지된 한국저축은행의 계열 1곳 등 총 3곳의 저축은행이 문을 닫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은행은 국제결제은행 기준 비율이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으며, 개선을 위한 증자에도 성공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