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그동안 유로존 재정위기가 미국 경제 회복을 압박했듯이 경제 주체들의 불안 심리도 당분간 상존할 것으로 전망된다. 5월 고용지표(실업률 8.2%, 일자리 6만9000개 창출=지난해 5월 이후 최저치)가 보여주듯이 당분간 미국 경제는 고용 미비 및 소비 둔화의 악순환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경기 회복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역시 유로존 재정 위기 극복 및 연준(Fed)의 추가 양적완화 등 대대적인 경기 진작 조치로 볼 수 있다. 유로존이 확연하게 불안감을 털어내지 않는 한 미국 경제에 계속해서 부담을 줄 것이고, 경기 회복이 미진해 지면 연준의 양적완화가 있을 것으로 시장 분석가들은 전망한다. 일단 지난 1분기 1.9%의 저조한 GDP 성장률에도 여전히 연준은 양적완화는 아직 없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매크로이코노믹 어드바이저스의 조엘 프라켄 회장은 “비농업부문에서의 저조한 고용 동향은 앞으로 3,4분기 경기가 근본적인 하강 트렌드를 이어갈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우려했다. 5월 민간 기업들이 해고한 근로자 수가 지난해 동기 대비 67%나 증가한 6만2000명에 이르렀다는 소식도 매우 좋지 않다.
경기 회복에 큰 복명이지만 최근 잠시 잊혀진 요인은 재정 지출 문제다. 이른바 우려되는 재정 절벽(fiscal cliff)은 재정 지출이 갑자기 줄어들면서 시중에 유동성이 즐어들어, 경기 회복에 찬물을 끼얹는 현상을 말한다.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재정 지출 증가가 큰 도움이 되지만, 현재 야당인 공화당이 대규모 재정 적자 감축을 하지 않으면 기타 예산 지출도 상당부분 막겠다는 전술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재정 절벽(fiscal cilff)이 예상치 못한 경제 쇼크로 도래할 수 있다. 올 10월부터 시작되는 미국 연방 정부의 회기 연도 예산안은 이미 6070억달러의 지출 삭감안을 반영하고 있다. 이에 따른 부담은 경제가 모두 져야 한다.
JP모건의 마이클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재정절벽이 발생하면 GDP의 약 3.7% 규모의 유동성이 시중에서 사라지는 것과 같다”며 “미국 경제를 경기 침체로 빠뜨릴 수 있다”고 최근 우려했다.
이와 맞물려 그동안 일반 중산층 이하 저소득층들에게 적용됐던 각종 세금 감면 혜택이 하반기와 내년부터 소멸된다. 이에 따른 세금 부담은 2000억달러가 넘을 것으로 추정, 그만큼 소비자들의 지출이 압박받을 전망이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도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후 “재정절벽이 발생하면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연준이 이를 상쇄할 만한 능력을 가지 못하다”며 “의회가 이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나마 11월 대선 직전까지는 여야가 지난해 처럼 극단의 대치를 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완만한 재정 지출 감소가 시작될 전망이다. 선거가 끝나는 연말부터 재정 지출 삭감 효과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미국 경제가 온건하긴 하지만 꾸준하게 성장세를 타고 있다는 반대 의견도 있다. 큰 기대는 할 수 없지만 큰 우려도 기우라는 주장이다. 10%를 넘나들었던 실업률은 8% 초반 선으로 내려왔고, 수년전 미국 경제를 나락으로 끌어내렸던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가 이에 따른 금융사 도산, 더 나아가 전체적인 시장 불안 등 최악의 상황은 이미 벗어났다는 지적이다.
관련 지표인 주택 차압 통계 등을 보면 시장은 최근 바닥을 다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전히 은행이 보유한 차압 물건이 많기는 하지만, 소화할 수 있는 1차 물량은 이미 시장에서 대부분 소화했다. 미국 소비자들의 주머니 사정은 고용 사정과 함께 주택 시장에 따라 많이 좌우되기 때문에 경제 당국이 주택 시장 회복에 거는 기대는 작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