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세바스찬 로열과 김진현 박사 연구팀이 실험동물 훈련장치인 트레드밀과 최신 뇌 회로 분석기술인 광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뇌가 공간정보를 습득하는 원리와 억제성 신경세포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해마는 뇌에서 공간탐색, 기억의 저장과 상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이 속에는 신경세포가 존재한다.
로열 박사팀에 따르면 생쥐 뇌 속을 실험한 결과 소마토스테틴형 신경세포의 작용을 억제한 경우 세타파 진행 중 다발적 활성화 현상이 증가했다.
또 파브알브민형 신경세포의 작용을 억제한 경우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양의 위상이 외부의 영향에 의해 바뀌는 세타파의 위상변이가 발생했다.
로열 박사는 “해마의 공간학습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기억습득의 원리를 밝힐 수 있어 간질병과 알츠하이머(치매) 등 해마 손상으로부터 오는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하워드휴즈의학연구소 산하 재넬리아 팜 리서치 캠퍼스와 공동으로 지난해 3월부터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신경과학 분야의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지’ 온라인판에 지난달 25일자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