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시민통합당, 한국노총은 16일 오후 국회에서 통합수임기관 합동회의를 열어 합당과 통합을 결의했다.
민주당은 2008년 7월 '민주당' 이름을 달고 출범한 지 3년5개월 만에 시민사회와 친노(親盧) 인사, 노동계 세력 등을 아우르는 더 큰, 새 둥지를 마련하게 됐다.
민주통합당은 내달 15일 당원과 대의원, 시민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경선을 치러 새 지도부를 구성, 본격적인 총선 체제에 돌입한다.
특히 시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담아내기 위해 온ㆍ오프라인 정당을 표방, 오프라인 당원 외에 인터넷을 통해 정책 활동을 벌이는 '정책당원'도 도입한다.
또 젊은층의 지지와 교감을 형성하기 위해 `슈퍼스타K’ 방식으로 35세 이하 청년 최고위원을 뽑고, 내년 총선에서는 2030세대를 대표하는 비례대표 4명을 당선 가능권에 배정하기로 해 청년층을 포괄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이에 따라 민주통합당은 기존 민주당보다 지역ㆍ세대ㆍ직능 측면에서 외연이 한층 확대되고 역동적인 모습을 띨 것이라는 게 당 관계자들의 기대다.
그러나 민주통합당이 넘어야 할 산은 결코 낮지 않다는 지적이다.
태생과 문화가 다른 3자간 화학적 결합이 최우선 과제로 손꼽히고 있다.
'전대 폭력사태'에서 드러났듯 기성정당의 구태를 벗지 못한 민주당과 시민사회, 노동계가 각각 지향하는 정당문화가 상이해 당 운영과 현안 대응 방식, 총선 공천 작업 등에서 수시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가뜩이나 전대 폭력사태 등 불미스런 일로 야권통합의 효과가 반감한 상황에서 갈등과 충돌로 구태를 답습하면 `도로 민주당’이라는 비판에 직면할 수도 있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합동회의에서 “외형적 통합만 아니라 내적으로도 하나가 돼 희망을 주고 함께 잘사는 정의로운 복지사회를 향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측면에서 양당 구도로 재편된 야권은 쇄신과 주도권 경쟁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내년 총선에서 여야 1대1 대결구도를 형성하기 위해 예상되는 양당간 통합 및 후보단일화 과정의 협상력과 직결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