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이 이날 상속ㆍ증여세 회피 목적의 편법 증여를 시도한 것으로 의심돼 조사 중이라고 밝힌 10개 기업도 경영권 승계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회사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 가운데 대기업은 창업 2세대에서 3세대로, 중견기업은 1세대에서 2세대로 경영권이 넘어가는 과정에서 거액의 상속·증여세를 피하려는 탈법·편법이 많이 등장할 수 있다.
경영 월간지 `현대경영‘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말 현재 국내 100대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의 평균 연령은 58.9세로 집계됐다.
이는 이 잡지의 조사가 시작된 1994년 이래 최고령이다. 100대 기업 CEO들의 평균 연령은 1998년 외환위기가 발생하기 전만 해도 50대 중반 수준이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해 60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들 중 신격호 롯데쇼핑 회장이 89세로 나이가 가장 많았다. 이어 조석래 효성 회장(76세), 손경식 CJ제일제당 회장(74세),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73세)도 `고령 CEO’에 이름을 올렸다.
대기업과 마찬가지로 중견기업들도 CEO 고령화 현상에서 결코 예외는 아니다.
코스닥협회 조사 결과, 코스닥 상장기업 CEO들의 평균 연령은 지난 6월 말 현재 53.2세로 나타났다. 2006년 50.1세에서 3세 이상 늘었다.
뿐만 아니라 주식시장에서 `어린이 주식부자‘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도 문제다.
재벌닷컴에 따르면 국내 상장기업 대주주 자녀나 친인척 가운데 보유 주식 가치가 1억원 이상인 만 12세 미만 어린이는 2008년 5월만 해도 51명이었으나 올해 같은 달에는 87명으로 늘었다.
이는 억대 지분을 가진 어린이 주식부자가 불과 3년만에 70%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들 어린이 중에는 재벌그룹 가문 손자녀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왜 해를 거듭할 수록 어린이 주식부자가 증가하는 것일까. 이는 기업 수장들이 부를 대물림하는 수단으로 주식을 선호하는 이유는 다른 자산에 비해 상속ㆍ증여세를 줄이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과도한 상속세가 기업 부담을 가중시킬 뿐 아니라 탈세를 부추기고 있기 때문에 이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