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들은 표면적인 평가지표의 일부를 사용한 분석이라면서 큰 의미를 둘 필요가 없다고 밝히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모건스탠리는 1일 은행들을 중심으로 자금 조달 리스크에 따른 충격흡수 정도를 가늠한 순위에서 아시아 8개국 중 한국이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는 내용의 ‘아시아 신용전략’ 보고서가 최근에 발간됐다고 일 밝혔다.
조사 대상 국가는 한국,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대만, 인도, 인도네시아, 대만 등이다. 한국은 2008년에도 8위를 차지했다.
순위는 대손충당금 적립비율과 예대율 등을 근거로 매긴 것이다. 이 보고서는 한국의 대손충당금 적립비율(coverage ratio)과 예대율(LDR) 순위가 아시아 8개국 중 가장 낮다고 주장했다.
대손충당금은 은행 등 금융기관이 대출한 자금 중 회수하지 못할 부분을 사전에 예측하고 비축해 놓은 자금이다. 예대율은 은행의 예금잔액에 대한 대출금잔액의 비율로서 은행의 재무건전성을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다.
자금 조달 리스크에 잘 대응할 수 있는 나라로는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순으로 꼽았다. 대만이 4위, 인도가 5위, 인도네시아와 태국이 공동 6위로 나왔다.
이 보고서는 아시아 국가들의 자금조달 능력이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나아졌다고 평가했다. 그 당시보다 외환보유고가 늘어났고 은행 시스템은 외국이나 금융기관간 자금조달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 역시 금융위기 이후 2년 6개월간 개선되는 모습을 보여왔지만, 위험 노출도는 여전히 다른 나라에 비해 크다고 지적했다.
국내 금융기관 관계자들은 이번 조사 결과를 한국이나 한국 은행들에 대한 투자 부적절성과 연결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우리금융지주 김홍달 상무는 “기업들의 워크아웃 과정에서 대손충당금 비율이 일시적으로 낮아졌다. 표면적인 수치를 자본 건전성과 연결짓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은행들의 예대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엔 100%를 넘었지만 현재는 100% 이하로 떨어지는 등 점차 개선되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동부증권 이병권 은행 담당 애널리스트는 “특정 지표 순위가 떨어진다고 상태가 안 좋은 것은 아니다. 국내 은행의 예대율이 이미 100% 밑으로 내려왔는데 순위를 따지는 게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라고 반문했다.
대우증권 윤여삼 연구원은 “이번 순위는 순수한 은행건전성 및 단기유동성 관련 지표를 중심으로 산정했다는 점에서 전체 한국에 대한 투자 기준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