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아파트단지 한 중개업소 입구에 설치된 매물 안내판. 급매물은 나와 있지만 매수문의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 중개업소 관계자의 설명이다. |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거래가 없는 정도가 아니고 집을 내놔봐야 아무 소용이 없다. 5차 보금자리주택지구 발표 이후 거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과천 원문동 K부동산 관계자)
"기준금리 인상 발표 후 대출금 이자가 부담스러워 매수 계약을 취소하는 사례도 있었다. 그저 한 숨만 나올 뿐이다."(잠실 P 공인중개 관계자)
19일 찾은 서울 서초구 반포자이 단지내 상가. 이 곳에만 22개의 중개업소가 문을 열고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지만 눈에 띄는 고객은 찾기 어려웠다.
이화공인 박문진 대표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기본적은 매수심리 자체가 꽁꽁 얼어붙어 있다. 지금은 백약이 무효일 정도"라며 "3400가구가 넘는 반포자이에서 올해 이뤄진 매매거래는 35건 정도에 불과할 정도"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올들어 가뭄 현상을 보이고 있는 주택거래는 5차 보금자리주택지구 발표와 추가 금리 인상(6월10일)이후 급격하게 얼어붙고 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서울 지역의 5월 아파트 거래량은 3805건으로 4월(4787건)보다 20% 줄었다. 경기와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은 1만5080건으로 전월(1만7940건)대비 15.9% 감소했다.
보금자리주택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부활 속에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부담까지 더해지면서 매수심리를 크게 위축시키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써브 함영진 연구실장은 “집값 상승에 기대한 기대심리가 떨어지면서 구매보다는 임대거주를 선호하는 상황이 지속돼 전세시장이 강세를 보임에 따라 매매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잠실 D공인 관계자도 “매수자들의 입장에서는 가격이 더 떨어질거라고 생각하면서 매수에 나서지 않는 상황인 반면 매도자들은 선거를 앞두고 오를 수도 있겠다는 분위기가 번지고 있다”고 말했다.
재건축·재개발 시장도 마찬가지다. 이달부터 시행된 양도세 거주요건 폐지 이후 매도물량은 늘어난 데 반해 기준금리 인상으로 투자심리가 더욱 얼어 붙는 양상이다. 강동구는 고덕지구 지정 여파로 고덕주공2~6단지가, 송파구는 가락시영이 면적대 별로 500만~1500만원씩 호가가 떨어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금은 백약이 무효일 정도로 어두운 분위기이지만, 국면을 전환할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며 "분양가 상한제 폐지와 금융규제 완화 등 건설업계의 요구 사항에 대해 정부나 정치권이 심각하게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