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 교동에 위치한 전주 한옥마을 전경. 800여채의 한옥이 밀집돼 있는 한옥주거단지로 매년 약 600만명이 찾는 국내 대표적인 주거관광단지다. |
(아주경제 이혜림 기자) 한옥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많이 개선됐지만 한옥이 보편적인 주택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아직 갈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우선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돼 온 건축비 절감과 건축법규 제정에 이르기 까지, 지금의 한옥 열풍이 단순한 관심에 그치지 않고 활성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아직도 넘어야 할 산이 많기 때문이다.
가장 시급한 해결과제는 그동안 한옥 활성화의 발목을 잡아 온 한옥의 고가 건축비. 설계나 자재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3.3㎡당 건축비는 300만원 선인데 비해 한옥은 3.3㎡당 900만~950만원 정도. 현재 서울시를 비롯한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한옥보전 보조금을 지원해 주며 한옥 건립을 독려하고 있지만 예산확보 등의 문제로 이 역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6일 이현수 현대한옥학회장(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교수)은 "한옥의 현대화에 있어 가장 큰 목표 중에 하나가 건축비 절감"이라며 "한옥이 대중화되려면 공법과 자재의 다양화를 통한 치수의 표준화와 모듈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한옥은 집을 짓는 사람과 장소 등 형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특수성을 지닌 만큼 고유성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한옥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좋지만 그 정체성까지 변질돼선 안 된다는 것이다.
한옥건설전문업체 북촌HRC 김장권 대표는 "보급율을 늘리기 위해 획일화된 한옥을 대량 생산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며 "한옥은 '어울림'이 중요한 건축물이기 때문에 한옥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현대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지금까지 한옥은 단층으로 지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이제 수평적 팽창이 아닌 수직적 팽창을 해야 할 때"라며 "2층 한옥이나 지하층을 만드는 등 대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 중이다"고 설명했다.
장명희 한옥문화원장도 "한옥을 수공예품처럼 접근하는 관점과 기계화·모듈화를 통해 시공비를 줄이려는 시도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옥의 가격보다는 가치에 무게를 두는 인식의 전환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옥 관련 법규 제정 등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2008년 한옥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용역 발주하는 등 관련 법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재정 부족 등의 이유로 현재까지 지지부진한 상태다.
남해경 전북대 한옥종합기술지원센터장은 "한옥마을 조성·보조금 지원 등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한옥 육성을 위한 각종 정책을 펴고 있지만, 좀 더 높은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재정적 지원과 더불어 제도·법규 등의 지원정책도 따라야 한다"며 "한옥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한옥 연구센터 설립과 지속적인 전문 인재양성 사업 등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