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식품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가운데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하면서 중국·인도·브라질 등 신흥시장국들이 속속 금리인상에 나섰고 유럽·영국 등 주요 선진국들도 금리인상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물가 상승세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자 경제성장 동력을 회복하지 못한 선진국들도 물가를 잡기 위해 불가피하게 금리인상 카드르 만지작거리게 된 것이다.
한국도 이번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앞두고 기준금리 인상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6일 한국은행과 파이낸셜타임스지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영국은행과 유럽중앙은행(ECB)이 이르면 4월 중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지는 영국이 현재 0.5%의 금리를 올해 두 차례 올려 내년 1월에는 1.25%까지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은 에너지 및 식료품 가격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만큼 4월에 금리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영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목표치의 두배인 4% 수준이며 조만간 5%로 올라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ECB도 금리 인상 카드를 빼들 태세다.
장 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는 지난 3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정례 금융통화정책회의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다음달 회의에서는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고 밝혔다. ECB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친 것은 지난 2009년 1월 기준금리를 1%로 내린 뒤 2년여 만에 처음이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격랑을 겪은 유럽이 통화량 조절 가능성을 내비친 것은 신흥시장국의 긴축 기조와는 차이가 크다. 저성장의 쳇바퀴에 빠진 유럽이 기준금리를 올릴 정도로 최근의 글로벌 물가상승 압박이 심각하다는 의미다.
미국은 실업률이 높고 생산·소비활동이 원활하지 않아 당분간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지난해 풀어놓은 대규모 유동성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단계적 긴축에 나설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 금통위가 오는 10일 통화정책방향 결정에서 금리 인상에 무게 중심을 둘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신흥시장국에 이어 선진국이 금리인상 등 긴축기조 전환 의사가 있다고 밝힌 만큼 한은으로서는 부담을 크게 덜었다는 것이다. 한은은 국내 금리를 인상할 경우 대외 금리차 확대로 글로벌 캐리트레이드 자금 유입이 확대돼 시장금리와 환율이 떨어질 것으로 우려해왔다.
그동안의 확장적 통화정책 기조가 주요국과 정책적 공조를 맞춘다는 측면이 컸던 점도 금리인상 전망에 힘을 실어준다.
앞서 금통위원들은 지난 1월 금통위에서 "실제 물가상승률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물가안정을 위해서는) 미시대책과 더불어 통화정책(금리) 등 거시정책도 함께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