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한달 간 전셋값 상승률이 2002년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계절적인 비수기에도 전세난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전통적인 이사철(2~4월)과 결혼시즌 등이 도래함에 따라 전세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 연장 및 지방 미분양 아파트 매입시 취득·등록세 감면 조치 연장 등의 카드를 만지작거리며, 이달 말 거래와 전월세 시장을 아우르는 종합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히고 있어 시장의 이목이 정부 대책으로 쏠리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업계에서는 정부 대책에 대한 시장의 내성이 강한데다 전세수요를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주택 거래 활성화 대책 마련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9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셋값은 전국 평균 0.9% 오르며 지난 2002년 1월(2.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한달 간 상승률도 0.7%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실제로 서울 광진구 자양동 일대는 강남권 전세수요가 유입되면서 매물이 부족한 상황이며, 성북구와 노원구에서도 매물이 나오는 즉시 거래가 이뤄질 정도로 전세시장은 여전히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수도권에서도 용인과 화성, 분당 등지에서 매물 부족 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그러나 입주물량은 2000년 이후 매년 3월 입주 물량 중 가장 적을 것으로 집계되고 있어 전세난이 쉽게 해소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내달 입주하는 신규 아파트 단지는 전국 14곳 총 4096가구에 그칠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는 전년 동기(2만906가구) 대비 20% 수준으로 전달(1만3981가구)에 비해서도 무려 9885가구가 감소한 수치로, 월단위 신규 입주물량이 5000가구 이하로 떨어진 것은 오는 3월이 유일하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부는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 지방 미분양 감세, 생애최초 주택대출 등의 연장을 골자로 한 추가 전세대책을 이달 말쯤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서울 아파트의 평당 가격이 사상 최고가의 97%선을 회복하는 등 가격 부담이 만만치 않은 데다, 주택 매수 심리가 여전히 얼어붙어 있는 상황이어서 거래 활성화가 어느 정도로 이뤄질 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이사철이 절정에 다다르는 3~4월이 전세난의 운명을 가늠하는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정부의 거래 활성화 대책에 따라 매맷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거래량이 증가하면 올 하반기께는 전세난이 어느정도 진정국면을 맞을 수 있지만 4월을 넘겨서도 보금자리 대기수요가 적체되고, 매맷값 상승 기대감이 위축될 경우 전세대란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영진 닥터아파트 이사는 "정부가 이달 말 발표할 대책에 거래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담겨 전세수요가 감소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4월 이후 거래가 살아난다면 8월 이후에는 전세난이 어느정도 안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