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월가 금융회사들의 과도한 보너스 지급 관행에 대한 규제에 나선 가운데 금융권이나 국민 혈세가 투입된 부실기업이 아닌 일반 제조업체들도 임직원에 대한 보수지급 체계 수정에 속속 나서고 있다.
이는 경기침체 후 과도한 리스크를 방지하고 성과 연동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미 정부가 공적자금이 투입된 일부 기업의 급여를 삭감키로 한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4일(현지시간) 의류업체인 폴로 랠프 로렌에서부터 제약업체 일라이 일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조업체들이 정부의 규제 방침을 반영해 임원 보수체계를 조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 기업의 보수체계 조정은 대부분 보수중 주식지급분을 늘리고 이 주식의 매각유예 기간을 연장하는 한편 보너스 지급을 위한 성과 충족기준을 상향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뉴욕의 보수컨설턴트인 제임스 레더는 "우리는 막대한 연간 보너스를 비롯한 전통적 급여지급 관행을 없애는 '변곡점(Tipping Point)'에 와있다"고 말했다.
앞서 미 재무부는 지난 22일 정부의 구제금융을 아직 상환하지 않은 7개 기업의 임원 175명에 대해 연봉을 50% 삭감하기로 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시스코는 유예기간이 2년이었던 보너스 연계 스톡그랜트(성과연동주식)를 폐지하고 3년을 기다려야 하는 그랜트 방식으로 대체했다.
제약업체 일라이 일리도 회사와 임직원의 실적을 평가하는 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렸고 잉거솔랜드도 1년에서 3년으로 확대했다. 폴로 랠프 로렌은 주식의 기간뿐 아니라 실적달성 기준까지 추가했다.
주식뿐 아니라 임직원들에게 부여하는 각종 부가혜택을 축소하거나 폐지하는 기업들도 생겨나고 있다.
잉거솔랜드의 폴 디커드 대변인은 이런 조치가 장기적 관점에서 실적을 평가해야 한다는 견해를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