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 대만, 일본의 수출증가율 비교 (자료=지식경제부) |
신흥시장 수출확대 필요성 제기
전문가 “브랜드 파워 강화하는 공격적 마케팅 필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국내경기침체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신흥시장 수출확대를 통해 위기극복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최근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경기회복을 고려, 공격적 마케팅이 융합된 수출전략 마련의 필요성을 기업들에게 당부하는가 하면 수출기업들의 자금난 해소차원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장·차관급 고위 인사가 수출 세일즈 외교에 나서는 등 전 부처 총력 수출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하는 등 그야말로 ‘수출대전’에 돌입했다.
◆ 세계교역량 급감추세..한국 낙폭 적어
10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이후 세계경제 침체로 각국의 수출 및 수입이 감소세로 전환하는 등 세계교역량은 급감하는 추세다.
수출입통계가 발표된 43개 국가 중 호주(37.9%↑), 인도(22.0%↑)를 제외한 나머지 41개국의 수출이 모두 감소세를 기록할 정도다.
다행스러운 대목은 주변국인 일본, 대만, 싱가폴 등 국가들의 지난해 11월 수출증가율을 올 1월과 비교한 결과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한데 반해 같은 기간 우리나라는 낙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는 점이다.
일본, 대만, 싱가폴이 각각 -26.7% → -45.7%, -23.3% → -44.1%, -7.9% → 35.7%를 기록했으나 우리나라는 -19.5% → -33.8%의 수출 감소율 수준에 그쳤다.
이 같은 결과가 도출된 데는 해외수요 감소에 따른 전반적인 수출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해외수출시장의 다변화 △수출품목의 다양성 △환율변동에 따른 가격경쟁력 제고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우리나라는 지난해 전체 수출 중 비중 70%를 차지하는 수출대상국이 총 17개 국가로 다변화 됐으며, 특히 선진구 중동 중남미 대양주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을 대상으로 한 수출이 증가했다.
또한 조선, 일반기계, 자동차, 반도체, 석유화학 등 중화학제품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수출품목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 “신흥시장 등 신시장 개척해야”
이에 따라 중국, 미국 등 기존 수출대상국 외에 이들 품목을 무기로 신 수출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는 의견을 비롯 과감한 수출전략마련의 목소리가 정부와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장재철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개발도상국, 신흥시장은 부품과 중저가 제품들이, 아프리카, 중동지역은 중고차 수출이 활발하다”면서 “지역별로 비교경쟁력 갖는 수출상품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장 연구원은 “수출기업은 향후 경기회복이 됐을 때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도록 연구개발(R&D)과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는 공격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주문한 뒤 “여기에 품질향상까지 뒷받침 된다면 향후 수출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이 약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출확대를 위한 정부의 노력도 당부했다.
그는 “금융시장과 환율이 불안해 수출기업들이 자금난에 빠질 수 있다”면서 “수출보험지원 확대와 같은 자금지원을 비롯 산학간 R&D를 활성화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제도마련이 절실하다”고 역설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대양주처럼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을 덜 받는 신흥시장을 상대로 한 수출시장 확대가 필요하다”면서 “다만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선진국 시장의 경우 우리 제품의 높아진 가격경쟁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상품 특별전’ 개최 등 틈새시장 개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LED, 태양광 등 녹색성장산업을 비롯한 수출블루오션을 창출해 미래 주력수출품목을 적극 개발해야 한다”면서 “특정품목에 대한 과도한 의존보다는 각 업종별 주력품목들을 골고루 육성해 수출품목 스펙트럼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비상수출대책회의’, 수출대책 창구 될까
정부는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리는 무역투자진흥회의를 ‘비상수출대책회의’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지난해 5월과 11월 한차례씩 열린 무역투자진흥회의는 조선과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 수출 품목 관련 부서 공무원과 업계 및 수출 지원 단체 전문가 참석해 수출 현황 및 대책을 논의해 왔다.
지경부 관계자는 “아이디어 차원이긴 하나 비상수출대책회의로 개편될 경우 각 부처 차원에서 보다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수출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재훈 기자 jhkim@aj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