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는 전문경영인이 맡아야” 이재용 부회장 소신은 진행형
2017-08-15 17:17
“나는 주주로서의 역할만 할 뿐이다. 삼성은 지금까지도 계속 전문경영인 체제를 유지해왔다. 회사를 직접 경영하는 것보다 전문경영인을 위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편이 훨씬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지난 2000년, 당시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던 이재용씨는 국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앞으로 맡아야 할 역할을 이렇게 설명했다. 본격적인 경영수업에 들어가기 직전이었던 당시 이미 그는 경영자로서의 마음가짐이 어떠해야 할지를 정해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 27부(김진동 부장판사)는 오는 25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및 전직 삼성그룹 임원들에 대해 1심 선고를 내린다. 핵심 쟁점은 삼성이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엮이게 된 주된 이유가 과연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냐는 것이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일관되게 이 부회장이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전문경영인들을 앞세웠다고 몰아세우고 있고, 이 부회장과 변호인 측은 이와는 무관한 강압에 의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직 삼성 임원은 “겉으로 드러난 것뿐만 아니라 회사 내에서도 이 부회장은 오너라는 점을 부각시키지 않았고, 삼성의 수많은 그룹 임원진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만 일했다. 적어도 회장(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쓰러지기 전까지는 그랬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회장의 와병으로 어쩔 수 없이 삼성의 책임자라는 짐을 직접 지게 되었지만, 직책이라는 완장보다는 행동으로 그 짐을 실천해왔다”면서 “(회장이라는 직함에) 연연하지 않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재판 과정에서 최지성 전 미래전략실장(부회장)이 이 부회장에게 회장 승진을 독촉했으나 그는 부친이 살아 계시고, “내 위치에서 한 단계 위치 변화가 있다면 회사 안이든 사회에서든 환영을 받으면서 하는 것이 좋지 않나”라며 고사한 사례도 드러났다.
지난 2일 자신의 재판에서 이 부회장은 “회사의 리더가 되려면 사업을 이해하고 직원들에게 비전을 줘서 좋은 사람이 오게 하고 경쟁에서 이기게끔 해야 한다. 직원들을 훈련하고, 신바람 나게 일할 수 있게 하는 능력이 경영권이지 지분을 몇 퍼센트 더 가진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들은 이 부회장의 소신은 부친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건희 회장은 “21세기형 경영자는 스스로 변화를 일으키고 유연한 조직 문화를 창조할 수 있어야 한다. 변화에 대한 뚜렷한 방향을 제시하고 조직 내에 전파할 수 있는 철학자의 경륜이 요구된다”면서 이를 위해 △지혜 △혁신 △정보력 △국제감각 등 네 가지 조건을 꼭 갖춰야 한다고 역설했었다.
또한 “파이프는 처음부터 끝까지 지름이 똑같아야 성능을 제대로 발휘한다. 경영도 이와 마찬가지다. 파이프에 막힌 곳을 찾아 뚫어주는 것이 유능한 경영자다”고 강조했다. 이 부회장은 전문경영인은 해낼 수 없는, 막힌 파이프를 뚫어주는 역할을 자처해왔다.
삼성 관계자는 “특검은 이 부회장이 자신의 안위를 위해 전문경영인을 희생양으로 몰아세우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오히려 이 부회장은 전문경영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특검의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