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가 미래다] 분야 간 융합으로 '한글'의 새로운 가치 창출하다

2016-05-24 00:01
국립한글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사진=국립한글박물관 제공]



국가적 차원에서 한글 문화유산 수집·보존
'문자'만이 아닌 생활 속 한글의 가치 재발견


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국립한글박물관(관장 김철민)은 우리 민족 최고의 문화유산이자 세계문화유산인 한글의 문자·문화적 가치를 알리기 위해 지난 2014년 10월 문을 열었다. 

단순히 한글 관련 자료를 전시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국가적 차원에서 한글문헌, 영상, 글꼴 등 한글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수집·보존하고, 다음 세대에 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한글박물관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특히 '문자'로서의 한글뿐만이 아니라, 생활 속에 스며든 한글의 모습을 연구·전시·교육함으로써 한글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한글 문화를 확산한다는 점이 이곳의 핵심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외국인들도 한글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만든 체험 학습 공간 '한글 배움터'와 어린이들이 즐겁게 놀면서 한글이 가진 힘과 의미를 경험할 수 있는 체험 전시 공간 '한글 놀이터'가 대표적인 예다.

 

국립한글박물관 상설전시실                                                        [사진=국립한글박물관 제공]



'배우기 어렵다는 한글을 풀어낸 곳'이라는 소문을 타며 국립한글박물관은 개관 이후 지금까지 외국인 1만5000여 명을 포함, 약 85만여 명이 방문했다.

작년 1월엔 뉴욕타임스가  '2015년 가봐야 할 곳'으로 이곳을 추천하며 "굉장히 훌륭하고 합리적인 한국 고유의 알파벳 한글을 위한 장소"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의 과거·현재·미래의 모습을 볼 수 있는 '한글이 걸어온 길'을 상설 전시 중이다. 또한 '세종대왕과 한글문화전' '한글편지전' '소설 속 한글' '한글정보화전' '초등학교 교과서전' 등의 특별전도 개최하고 있다.

전시 외에도 어린이와 부모가 함께 오감을 활용해 한글을 새롭게 바라보는 '자연 속 한글탐험', 청소년 대상의 '한글보따리', 성인 대상의 '한글과 디자인' 등 다양한 강좌도 마련하고 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지난해 총 338회 열려, 1만3500여명이 교육을 받았다. 자연 속 한글탐험과 한글보따리는 작년 9월 국제박물관협회(ICOM) 산하 국제교육문화위원회가 우수운영사례로 선정했다. 
 

김철민 관장[사진=국립한글박물관 제공]


국립한글박물관은 오는 2020년까지 자료 6만점을 수집할 계획이며, '월인석보' '덕온공주가' 자료 등 대표적 소장품 공개를 정례화해 관련 연구자들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배움터를 활용해 외국인과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글·한국전통문화 강좌 교실'을 열고, 한글문화의 해외 진출을 위해 올해 첫 국외 전시를 추진중이다. 국립한글박물관 측은 "이를 위해 오는 10월 일본 동경문화원에서 열릴 '한글과 디자인전'을 비롯해 2017년 중국 국립문자박물관, 프랑스 샹폴리옹박물관, 독일 구텐베르크문자박물관 등 주요박물관 순회 전시를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고 밝혔다. 

김철민 관장은 "국립한글박물관은 교육, 전시 목적이 아니더라도 도시락을 싸들고와 한가롭게 책을 읽거나 잔디마당에서 뛰어놀기에도 좋은 '열린 박물관'"이라며 "앞으로 연구, 교육, 예술, 산업 등 여러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한글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거점기관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