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은행권 수수료 정상화…손 안 대고 코풀기?

2015-08-10 15:00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은행 수수료=무료'라는 인식이 뿌리내린 만큼 금융당국이 직접 나서거나 일부 은행이 선제적으로 나서지 않는 한 인상하기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무엇보다 수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바뀌어야 합니다."

수익성 악화를 극복하기 위한 은행들의 고심이 깊어진 가운데 수수료 인상에 대한 한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의 발언이다.

한국씨티은행이 최근 일반 자기앞수표 발행 수수료를 인상한다고 밝히면서 국내 은행권에 수수료 인상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현재 송금 및 자동화기기(ATM·CD) 이용 등의 대고객 수수료는 과거 대폭 낮아진 이후 거래실적에 따라 대부분 무료 혜택으로 제공되고 있다.

현재 수수료 자율화에 대한 금융당국의 규제는 사실상 풀려 있는 상황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공정하고 합리적인 결정과정과 소비자들의 동의를 전제로 수수료 자율성 원칙을 보장한 바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은행권 경영자를 비롯한 실무자들은 대고객 수수료가 인상돼야 한다고 주장할 뿐 실제 인상에는 나서지 않고 있다. 수수료 인상 시 사회적 여론 및 고객 이탈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 역시 이같은 이유로 은행들이 대고객 수수료를 인상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하며 다른 방향으로 수수료 수익구조를 다변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은행권에서 수익구조 다변화를 위한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 수수료 등의 서비스와 관련해 적정 비용을 받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는 누군가가 대신 코를 풀어주길 바라는 모습뿐이다.

물론 금융당국의 역할도 필요하다. 과거 금융당국의 압박으로 수수료가 대폭 낮아진 만큼 실제 자율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은행들이 수수료 수익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무엇보다 수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악화된 데는 그동안 고객 신뢰를 저버리며 '비 올 때 우산 뺏는' 은행들의 영업행태가 반복된 탓이 크다. 수수료에 대해 볼멘소리를 하고 누군가가 대신 해결해주길 바라기에 앞서 악화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 되돌아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