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환율 등 높아진 경제 불확실성으로 민간은 물론 정부 공급 정책의 한 축인 공공부문의 주택공급 정책 역시 악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공공주택 인허가 물량이 2년 연속 크게 감소하면서 정부 공급 정책의 전제부터 흔들리고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1월~11월) 전국의 공공 부문(국민임대·공공임대·공공분양) 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은 총 8161가구를 기록했다. 당초 정부가 제시한 올해 공급 목표치에 크게 미달하는 수치다. 정부는 당초 지난해 건설형 공공주택(공공임대·공공분양)에서만 약 13만가구 수준의 인허가에 나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해 공공주택 인허가 물량은 전년 동기(1만2175가구)와 대비해서는 약 33%나 감소했다. 민간 인허가 물량이 17%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공공 부문의 인허가가 감소가 두드러졌다. 2022년 동기간(2만418가구)과 비교하면 연간 공공 부문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2년 만에 60%나 줄었다.
경기의 경우 민간 주택 인허가 물량이 1년 새 14.4% 감소에 그친 반면, 공공의 경우 전년 대비 물량이 85% 가까이 줄어든 753가구에 그쳤다. 인천 역시 민간 주택 인허가가 1년 새 43% 이상 크게 줄었지만, 공공 물량은 무려 94% 이상 감소했다.
실수요가 집중되고 있는 수도권 내 신축 아파트의 인허가 물량도 지난해 빠르게 줄었다. 수도권 아파트 인허가는 자난해 11만5558가구를 기록해 전년(14만3339가구) 대비 16.5% 감소했다. 특히 인천의 경우 같은 기간 50%, 경기는 14%에 가까운 인허가 물량이 같은 기간 줄었다.
인허가 물량 감소로 내년부터 분양 절벽이 앞당겨 질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25개 주요 시공사의 올해 분양 물량은 총 14만6130가구로 통계를 집계한 201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여기에 최근 정치적 불확실성 확산으로 원·달러 환율이 달러 당 1500원대에 육박하는 가운데 철근·모래 등 건설 원자재 수입 비용 증가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장 침체와 자금 경색과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착공과 분양 지연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런 공급 순연이 내년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지난해 25개 주요 시공사의 분양 실적은 22만2173가구로 계획(26만5349가구) 대비 83%에 그쳤다.
장인석 LH토지주택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은 “공급절벽 해소를 위한 공격적 주택공급정책이 필요하다”며 “이미 계획된 공급계획의 추진과 함께 건설경기 회복을 통한 안정적인 주택공급환경을 조성해 충분한 공급물량 신호를 주택시장에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