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에 위협 받는 국민 식탁...스마트팜이 농업 미래다

2024-11-14 06: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카타르에 수출한 한국 스마트팜을 살펴보고 있다.

    먹거리 위기에서 인공지능(AI)과 이를 활용한 스마트팜이 농업의 미래를 개척할 열쇠로 부상하고 있다.

    향후 농업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방법으로 스마트팜이 꼽힌다.

  • 글자크기 설정

온도·습도 등 정확하게 관리…병해충도 사전에 예방

MS·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도 참전

"한국 스마트팜 육성 위해 빅데이터 수집 박차 필요"

윤석열
윤석열 대통령이 카타르에 수출한 한국 스마트팜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기후위기로 가장 타격을 받게 될 산업 분야는 농업이다. 급격한 날씨 변화는 농산물 생산을 어렵게 하고 기존에 있던 품종은 가치가 없어진다. 먹거리 위기에서 인공지능(AI)과 이를 활용한 스마트팜이 농업의 미래를 개척할 열쇠로 부상하고 있다. 

향후 농업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방법으로 스마트팜이 꼽힌다. 스마트팜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인공지능,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작물과 가축의 생육 환경을 원격·자동으로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이다. 

기후변화로 기온이 급등하고 국지성 폭우가 잦아지면 농산물 가격 변동성은 커지게 된다. 올해 초 가격이 급등했던 사과나 깻잎, 상추 등이 대표적이다. 앞서 한국은행이 보고서를 통해 "기온이 1도 오를수록 농산물 가격 상승률이 0.4~0.5%포인트 높아지고 이 영향은 6개월 정도 지속된다"고 설명한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농업은 고령화와 이에 따른 생산성 저하 문제도 안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현재 농가의 절반 이상이 65세 넘는 노인이다. 일할 사람은 부족해 생산성도 함께 떨어지고 있는 것이 농촌의 현실이다. 

스마트팜은 기후위기와 생산성 저하를 극복할 대안으로 꼽힌다. AI가 토양과 비료, 날씨, 작물 상태 등을 분석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팜에서는 기온이 갑작스럽게 하락하면 방상팬을 비롯한 온열장치가 가동된다. 올해 초 기온 저하로 발생한 '금사과'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실내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수직농장 필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 수직농장은 일조량, 기온, 습도 등을 주체적으로 통제할 수 있어서 기후라는 대외 변수에 자유롭다. 현재는 채소와 상추 등 엽채류가 주로 수직농장에서 재배되지만 점차 그 가능성과 사업성은 커지고 있다. 

스마트 농업은 농작물의 병해충 예방에도 효율적이다. 실제 2017년 독일 부품 제조기업 보쉬는 AI 작물 병해 예측 시스템인 '플랜텍트'를 출시했다. AI가 작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스스로 분석해 모니터링하고 병해충을 예측해 농약 살포 타이밍을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팜 시장은 빠르게 커지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피리컬 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농업 분야 AI 시장 규모는 2022년 10억5000만 달러에서 2032년 52억7000만 달러로 5배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도 AI 기반 농업 솔루션 ‘팜비츠’와 ‘커넥티드 팜’을 선보이며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정부도 스마트팜 확산을 국정과제로 선정했다. 상주, 김제, 밀양, 고흥에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해 임대도 지원한다. 하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지원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국내 스마트팜 사업이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부터 지원해 키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웅 공주대 스마트팜공학과 교수는 "한국은 스마트팜 후발 주자지만 통신망이 잘 갖춰져 있고 전기 보급도 잘돼 있어 세계적 흐름을 빨리 따라가고 있는 편"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AI를 이용한 스마트팜은 정확한 생육 모델을 만들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이 필수적인데, 한국은 이를 모으기 시작한 얼마 안 됐다. 이를 빨리 확보해 나가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