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슬로바키아, 교역·에너지·방산 등 협력 확대...대북정책 지지

2024-09-30 13:48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로베르트 피초 슬로바키아 총리는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에 합의하고 경제·안보 전방위 분야에서 협력해나가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30일 공식 방한한 로베르트 피초 슬로바키아 총리와 용산 대통령실에서 정상회담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대통령실이 발표했다.

    교역·투자 분야에서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 수립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교역·투자, 산업, 공급망 등의 협력을 강화하고 우리 기업의 슬로바키아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협력의 틀을 만들었다.

  • 글자크기 설정

'전략적 동반자 관계' 공동성명 채택

포괄적 에너지협력...'원전'도 포함

北 비핵화·인권 증진·납북 등 공조

피초, 담대한구상·통일 독트린 지지

윤석열 대통령과 로베르트 피초 슬로바키아 총리가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양해각서MOU 서명식에 자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과 로베르트 피초 슬로바키아 총리(왼쪽)가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양해각서(MOU) 서명식에 자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과 로베르트 피초 슬로바키아 총리는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에 합의하고 경제·안보 전방위 분야에서 협력해나가기로 했다. 슬로바키아는 우리 정부의 ‘담대한 구상’과 ‘8·15 통일 독트린’ 등 대북정책에 대한 지지도 표명했다.
 
윤 대통령은 30일 공식 방한한 로베르트 피초 슬로바키아 총리와 용산 대통령실에서 정상회담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대통령실이 발표했다.
 
교역·투자 분야에서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 수립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교역·투자, 산업, 공급망 등의 협력을 강화하고 우리 기업의 슬로바키아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협력의 틀을 만들었다.
 
한국과 슬로바키아 양국 교역액은 2021년 35억 달러, 2022년 36억5900만 달러. 2023년 39억500만 달러로 매해 증가하고 있다.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 부품, 펌프, 전원장치 등이고 수입품은 승용차, 자동차 부품 등이다. 삼성전자, 기아를 비롯한 우리 기업 143개사가 자동차와 가전 분야를 중심으로 슬로바키아에 진출해 있다.
 
에너지·과학기술 분야에서는 ‘포괄적에너지협력 MOU’를 통해 다양한 무탄소 에너지 협력 강화에 대한 의지를 확인하고,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상호 협력이 가능한 분야를 모색하기로 했다.
 
국방·방산 분야에서는 기존 협력 MOU를 기반으로 사이버 안보 등 신안보 분야 협력 파트너십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아울러 사회·문화·인적교류 분야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한-슬로바키아 워킹홀리데이 협정 체결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양국 청년 세대 간 교류 추진을 지원할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이번 회담을 통해 우리 대북 정책에 대한 슬로바키아의 지지를 확보했고, 국제무대에서 양국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양측은 북한의 정세 불안정 행위와 러-북 군사 협력에 대한 강한 우려를 공유하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북한 인권 증진 △납북자, 억류자, 미송환 국군포로 문제 해결을 위한 공조에 합의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또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인도적 상황 악화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적 지원과 재건 복구 관련 상호 협력 의지를 확인했다.
 
슬로바키아는 우리 정부의 ‘담대한 구상’과 ‘8·15 통일 독트린’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슬로바키아는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우리나라와 최초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했으며, 이번 관계 격상으로 우리나라는 비세그라드 그룹 4개국(슬로바키아·체코·폴란드·헝가리) 전체와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피초 총리는 2007년 총리 재임 당시 방한한 이후 이번에 17년 만에 다시 방한했다. 슬로바키아 정상의 공식 방한은 2018년 키스카 대통령 이후 6년 만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7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주자나 차푸토바 슬로바키아 대통령과 약식 회담을 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