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지루한 경쟁이 계속되고 있다. 언제 멈출지, 그리고 누구의 승리로 끝날지 모르는 팽팽한 승부 겨루기의 연속이다. 미국은 대선(大選)을 앞두고 있으나 누가 집권하든 중국에 대한 견제가 중단되지 않을 것이 확실하다. 중국의 시진핑 체제는 빼든 칼을 칼집에 다시 넣을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고 양강(兩强)의 공방에서 손해를 보는 쪽이 여기저기서 나온다. 한편으론 이 틈새에서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가는 영리한 측도 드물지만 보인다. 이 싸움은 군사력보다 경제력과 소프트파워에서 누가 더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느냐에 따라 향방이 결정될 것이다. 소프트파워란 누가 더 글로벌스탠다드에서 주도권을 잡으면서 이에 동조하는 편을 많이 끌어들일 것인가로 요약된다.
미·중 충돌이 시작된 것이 이미 10년을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양측의 대결에 아직은 우열이 확실히 가려지지 않고 있다. 미국이 계속 압력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중국의 방어도 만만치 않다. 판세가 기울어지기까지는 아직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이를 두고 미국의 마이클 베클리나 힐 브랜즈 교수는 현재 양국의 전략적 경쟁을 두고 가장 ‘위험한 구간(Danger Zone)’으로 접어들고 있다고 평가한다. 충분히 수긍이 가는 논리다. 그렇다면 2030년이 지나서야 서서히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는 주장을 한다. 적어도 향후 10년간은 이런 불안정한 세계정세의 지속이 불가피하다. 그리고 다음 5년간의 대결이 가장 치열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은 피크가 아니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세계의 공장’에 이어 ‘세계의 시장’으로 면모를 일신했다. 산유국을 비롯해 원자재 혹은 식량 공급국까지 중국에 하나라도 더 팔려고 안달을 한다. 당연히 글로벌 경제에 대한 영향력의 부등호가 미국보다 중국으로 기울어졌다. 하지만 팬데믹이 양국의 위치를 미묘하게 변화시켜 놓았다. 중국의 우세가 약화한 것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미국의 입지가 강화되는 쪽으로 바뀌는 모양새가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 초기만 해도 중국의 강세가 계속되었지만, 장기화하면서 예상외의 상황 반전이 일어났다. 시진핑 3기 집권이라는 무리수와 겹치면서 호기를 놓치고 혼돈으로 빠져드는 악수를 뒀다. 팬데믹 종료 후에도 중국이 최고의 시기로 복원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이로 인한 후유증이 의외로 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예외 없이 한국도 10년 구간에 접어들어, 위기와 기회 공존 시기
혹자는 현재의 중국이 정점(頂點)이고, 앞으로는 올라가기보다 내려오는 일밖에 없다고 잘라 말한다. 실제로 곳곳에 적색경보가 켜지면서 과거와 같은 성장 동력이 생겨나지 않고 내부 불만이 쌓여간다. 정치력까지 후퇴하면서 정책 효과가 반감한다. 설상가상으로 내수 부진으로 궁지에 내몰린 중국 공장들이 해외 시장으로 밀어내기 수출에 안간힘을 쓴다. 세계 시장에서 저가 중국 상품과의 마찰이 우후죽순처럼 늘어난다. 미국과 유럽은 물론이고 한국으로까지 쓰나미처럼 쏟아져 들어온다. 중국이 공을 들이고 있는 중남미나 아프리카 시장에까지 중국 상품에 대한 반발이 거세다. 그동안 중국에 대해 긍정적이던 반응이 일시에 부정적으로 바뀌는 현상이 연출된다. 우군을 더 끌어들여야 하는 중국에 난감한 상황이다.
중국 상품의 공세로 문을 닫는 공장도 여기저기 눈에 띄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공장이 독일 국민차라고까지 불리는 폭스바겐의 몰락 징조이다. 친(親)환경차가 대세인데도 내연기관 차만 고집하다가 중국산 전기차 공습에 공장 두 곳을 폐쇄하기에 이르렀다. 올해 들어 중국은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 자동차 수출 대국으로 등극했다. 이는 이제 시작으로 유럽의 제조업이 거덜 날 수도 있다는 긴장감이 감돈다. 독일뿐만 아니고 일본이나 한국 등 전통적 제조 강국이 중국의 위협에 속수무책으로 나가떨어지는 추세다. 급기야 미국에 이어 세계 각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가 릴레이 하듯 이어진다. 중국의 위기가 커질수록 세계 시장의 혼란이 더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가 점점 현실화하고 있다.
중국의 부상으로 ‘투키디데스의 함정’이 시작되고 있는 것일까? 중국은 이를 강하게 부인한다. 당당하게 미국을 누르고 세계 중심국가로 부상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승자가 누가 될 것이라고 섣불리 판단하기는 어렵다. 앞으로 10년은 미·중 양국뿐만 아니라 세계 모든 나라에 중요한 역사의 변곡점이 될 것임은 분명하다. 특히 한국에게는 재도약의 기회와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경계해야 할 것은 양강 힘겨루기에서 우열이 가려지면 약해진 쪽이 택할 수 있는 강공 선택이다. 한반도 주변 정세 안보 관리와 더불어 경제적 유불리를 고려, 피해자가 되지 않아야 한다. 위기에 가장 적나라하게 노출된 국가라는 오명에서 벗어나 국익을 창출해 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한국도 가장 위험한 10년의 구간을 지나가고 있다.
김상철 필자 주요 이력
△연세대 경제대학원 국제경제학 석사 △Business School Netherlands 경영학 박사 △KOTRA(1983~2014년) 베이징·도쿄·LA 무역관장 △동서울대 중국비즈니스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