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전 의원이 신임 보험연수원장에 내정되면서 금융권에서 ‘낙하산 인사’라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하 전 의원은 내정 직후 보험연수원을 인공지능(AI) 시대를 선도하는 교육기관으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 전 의원이 차기 보험연수원장 후보로 단독 추천된 것을 두고 이번에도 보험 관련 경력·전문성이 없는 정치인이 온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1965년 보험사들이 출자해 만든 보험연수원은 직원 40~50명 규모의 기관이다. 보험연수원장은 임기가 3년이고 연봉이 3억~4억원 안팎인 것으로 알려져 금융권 관계자들이 많은 관심을 갖는 자리다.
금융권 관계자는 “보험업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관련 기관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보험연수원도 교육 과정에 대한 고민 등이 필요한데 관련 이력이 없는 정치인 출신이 계속 선임되는 것은 의문스러운 결정”이라고 말했다.
하 전 의원이 보험연수원장에 선임된다면 정희수 전 원장과 민병두 현 원장에 이어 세 차례 연속 국회의원 출신이 이 자리에 앉게 된다. 특히 민 원장 임기가 지난 1월까지였다는 점에서 이번 인선이 7개월이나 늦어진 것을 두고 보은 인사를 위한 것 아니었겠냐는 반응이 나온다.
반면 장기적으로 봤을 때 보험업계 전체의 확장성 측면에서 도움이 될 인사라는 목소리도 있다. 하 전 의원이 이번 총선에서는 국회 입성에 실패했지만 앞으로 ‘4선’ 가능성이 큰 인물이라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업계가 관계를 형성할 기회가 생겼다는 시각이다.
보험연수원은 이달 말 회원 총회를 열고 하 전 의원을 신임 원장으로 공식 선임할 계획이다. 하 전 의원은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알파고가 등장한 이후 AI에 꾸준히 관심을 두고 틈틈이 공부했다”며 “보험연수원을 AI 시대를 선도하는 교육기관으로 키우겠다는 것도 그 고민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비전”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총선 이후 정치권의 ‘낙선 인사 챙겨주기’가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윤창현 전 의원도 증권 정보기술(IT) 전문 기관인 코스콤 신임 사장 후보로 거론된다. 다만 윤 전 의원은 국회의원이 되기 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 금융연구원장,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장 등 관련 이력이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도 최준우 사장의 임기가 지난 2월 끝났지만 후임자 선임이 지연되고 있다. 이 자리에도 여권 인사가 낙점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 전 의원이 차기 보험연수원장 후보로 단독 추천된 것을 두고 이번에도 보험 관련 경력·전문성이 없는 정치인이 온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1965년 보험사들이 출자해 만든 보험연수원은 직원 40~50명 규모의 기관이다. 보험연수원장은 임기가 3년이고 연봉이 3억~4억원 안팎인 것으로 알려져 금융권 관계자들이 많은 관심을 갖는 자리다.
금융권 관계자는 “보험업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관련 기관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보험연수원도 교육 과정에 대한 고민 등이 필요한데 관련 이력이 없는 정치인 출신이 계속 선임되는 것은 의문스러운 결정”이라고 말했다.
하 전 의원이 보험연수원장에 선임된다면 정희수 전 원장과 민병두 현 원장에 이어 세 차례 연속 국회의원 출신이 이 자리에 앉게 된다. 특히 민 원장 임기가 지난 1월까지였다는 점에서 이번 인선이 7개월이나 늦어진 것을 두고 보은 인사를 위한 것 아니었겠냐는 반응이 나온다.
보험연수원은 이달 말 회원 총회를 열고 하 전 의원을 신임 원장으로 공식 선임할 계획이다. 하 전 의원은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알파고가 등장한 이후 AI에 꾸준히 관심을 두고 틈틈이 공부했다”며 “보험연수원을 AI 시대를 선도하는 교육기관으로 키우겠다는 것도 그 고민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비전”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총선 이후 정치권의 ‘낙선 인사 챙겨주기’가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윤창현 전 의원도 증권 정보기술(IT) 전문 기관인 코스콤 신임 사장 후보로 거론된다. 다만 윤 전 의원은 국회의원이 되기 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 금융연구원장,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장 등 관련 이력이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도 최준우 사장의 임기가 지난 2월 끝났지만 후임자 선임이 지연되고 있다. 이 자리에도 여권 인사가 낙점될 가능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