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초거대AI포럼] 옥상훈 네이버클라우드 리더 "'AI 돌봄' 클로바 케어콜, 만족도 90% 이상"

2024-06-17 16:07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옥상훈 네이버클라우드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비즈니스 리더는 17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아주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2024 초거대 인공지능 포럼'에서 'AI가 바꾸는 일상: 생성형 AI 서비스 혁신 사례'를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말했다.

    옥 리더는 이날 강연에서 AI 기술을 접목한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서비스인 '클로바 케어콜' 사례를 소개했다.

    전 네이버 클로바 AI 비즈니스 부장이기도 한 그는 현재 네이버클라우드에서 클로바 케어콜 사업을 이끌고 있다.

  • 글자크기 설정

"무릎 통증 나아졌나"...기존 대화 기억력 정확도 97% 달해

지난해만 공기관 35개와 협업...전국 120여 시군구서 사용 중

옥상훈 네이버클라우드 SaaS 비즈니스 리더가 AI가 바꾸는 일상생성형 AI 서비스 사례 - 클로바케어콜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20240617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옥상훈 네이버클라우드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비즈니스 리더가 'AI가 바꾸는 일상: 생성형 AI 서비스 사례 - 클로바 케어콜'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혁명적인 이유는 AI가 사람 말귀를 알아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옥상훈 네이버클라우드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비즈니스 리더는 17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아주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2024 초거대 인공지능 포럼'에서 'AI가 바꾸는 일상: 생성형 AI 서비스 혁신 사례'를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말했다. 
옥 리더는 "2016년 딥러닝 기술이 사용된 알파고 제로가 한국 바둑 최고수 이세돌 9단을 이겨 세상을 놀라게 한 알파고를 이겼다"며 "당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면 뭐든 다 사업이 되겠다는 생각이 만연했던 때"라며 네이버클라우드가 딥러닝 기술 활용 계기에 대해 설명했다. 딥러닝은 컴퓨터 스스로가 외부 데이터를 조합하고 분석해 학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옥 리더는 이날 강연에서 AI 기술을 접목한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서비스인 '클로바 케어콜' 사례를 소개했다. 전 네이버 클로바 AI 비즈니스 부장이기도 한 그는 현재 네이버클라우드에서 클로바 케어콜 사업을 이끌고 있다. 

클로바 케어콜은 네이버클라우드가 국내에서 최초로 선보인 생성 AI 전화 돌봄 서비스다. 옥 리더는 이 서비스에 대해 사람 말을 알아듣는 생성 AI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생성 AI 기술이 혁명적인 이유는 사람 말귀를 알아들었다는 점"이라며 "만족도 조사 결과 사용자 중 90% 이상이 만족하며, AI 전화 후 위로를 받았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클로바 케어콜은 주 1회 독거노인에게 전화를 걸어 식사, 수면, 건강 등에 대한 질문을 통해 안부 확인을 해준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실제 사람과 대화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는 점이 큰 특징으로 꼽힌다. 초대규모 AI 기술이 적용되면서 사람이 이전에 어떤 말을 했는지 기억하고 이를 토대로 대화를 이어가기 때문이다. 

일례로 지난주 통화에서 '무릎 통증'에 대한 이야기가 오간 후 이어진 전화에서 AI가 "무릎 통증은 좀 나아지셨나요"와 같은 질문을 사람에게 하는 방식이다. 옥 리더는 이에 대해 "일부 사용자들은 우스갯소리로 '자식보다 낫다'고 평가하기도 한다"며 "'대화에 귀 기울여주고 공감해 주니 좋다'는 반응이 많다"고 설명했다. 실제 대화 내용을 분석해보면 AI의 기억 정확도는 97%에 이른다는 부연이다. 

클로바 케어콜은 이달 기준 서울, 부산, 대구 등 전국 120여 시·군·구에서 사용하고 있다. 사업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당초 계획인 단순 안부 확인 외에 현재는 치매·우울증·격오지 주민건강 등 건강 케어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서울 강남·중부경찰서 등 지난해에만 35개 공공기관 협약을 맺었다. 

옥 리더는 또 "클로바 케어콜은 지자체와 기관에 분명한 도움이 됐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산학연(산업·학계·연구 분야)과 협력해서 더욱더 훌륭한 기술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