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2개월 연속 상승…단독주택 상승폭 가장 컸다

2024-06-17 14:27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서울 주택 가격이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지수는 -0.02%로 전월(0.05%) 대비 하락 폭이 축소됐고 지방도 -0.06% 하락하며 전월(-0.09%)대비 하락 폭이 축소됐다.

    서울의 주택종합 전세가격 지수는 0.26% 상승해 전월(0.18%)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 글자크기 설정

서울 주택종합 매매가격 0.14% 상승

단독주택 0.21%·아파트 0.20% 상승

서울 시내 부동산중개업소에 매물정보 모습 2024610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부동산중개업소에 매물정보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주택 가격이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추가 상승 기대 심리 영향으로 선호단지 위주로 매수 문의가 꾸준해 매도 희망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보인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5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등) 매매가격은 0.14로 전월(0.09%)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는 성동구(0.53%)가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용산구는 0.30% 상승해 뒤를 이었고 송파구가 0.28% 올랐다. 

서울 지역의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단독주택(0.21%)이 가장 높게 상승했다. 뒤이어 아파트(0.20%)가  상승했고 연립주택은 0.03% 상승에 그쳤다. 

수도권 주택종합 매매가격 지수는 0.02%로 전월(-0.01%) 대비 하락에서 상승 전환됐다. 인천은 0.07% 상승해 부평‧계양‧중구에서 상승하며 하락에서 상승 전환됐지만, 경기(-0.08%)는 지역별로 상승‧하락이 혼재되고 있는 가운데 양주‧안성시‧고양 일산동구 위주로 하락했다.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지수는 -0.02%로 전월(0.05%) 대비 하락 폭이 축소됐고 지방도 -0.06% 하락하며 전월(-0.09%)대비 하락 폭이 축소됐다. 서울의 주택종합 전세가격 지수는 0.26% 상승해 전월(0.18%)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전국은 0.12% 상승해 전월(0.07%0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고, 수도권도 0.28% 상승해 전월(0.21%)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지방은 -0.03% 하락해 전월(-0.06%) 대비 하락 폭이 축소됐다. 

한국부동산원 측은 "신생아 특례 전세자금 대출이 가능한 교통 및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의 주택종합 월세 가격 지수는 0.19% 상승해 전월(0.14%)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전국은 0.10%로 전월(0.08%)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고, 지방(0.01%→0.00%)은 상승에서 보합 저환됐다. 수도권은 0.20% 상승해 전월(0.17%)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2024년 5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인포그래픽 사진한국부동산원
2024년 5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인포그래픽 [사진=한국부동산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