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관련해 전 세계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 북한군이 이미 우크라이나로 침투해 전투를 치렀다는 소식까지 전해졌다. 북한군의 직접 참전을 뒷받침하는 소식들이 점차 전해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29일(이하 현지시간) CNN은 소수 북한군이 이미 우크라이나 영토에 진입했다고 2명의 서방 정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어 현재 러시아 동부에서 진행되고 있는 북한군의 훈련이 끝날 경우, 우크라이나로 진입하는 북한군의 수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리투아니아 비영리기구(NGO) '블루 옐로'의 요나스 오만 대표는 28일 리투아니아 매체 LRT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25일 우크라이나가 점유하고 있는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과 우크라이나군 사이에 첫 교전이 이루어진 가운데 북한군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가 전사했다고 전했다. 그는 러시아가 북한군에게 가짜 부리야트인 신분증을 배포했다며 "그들은 여전히 이를 숨기고 있다"고 덧붙였다. 부리야트인은 러시아, 몽골 등에 거주하고 있는 동양계 민족으로 러시아가 북한군의 참전 사실을 숨기기 위해 부리야트인으로 북한군의 신분을 위장했다는 것이다.
이는 북한군의 실제 전투 참전 사실을 시사하는 내용으로, 파병 북한군이 후방 지원 역할에 그칠 것이라던 일각의 추측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앞서 미 국방부와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는 전날 약 1만명의 북한군이 러시아 동부 지역에서 훈련을 진행 중이고 일부 병력은 이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최전선인 쿠르스크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커지는 파장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전투에 가담하고 있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국제 사회의 우려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북한군이 쿠르스크 지역으로 이동했다는 소식과 관련한 질문에 "나는 그것에 우려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군이 반격해야 하냐고 묻는 질문에 "만일 그들이 우크라이나로 넘어온다면 그렇다"고 답했다. 앞서 미 국방부는 전날 북한군이 전투에 직접 참여할 경우 우크라이나의 미국 무기 사용에 새로운 제한을 두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아울러 미국을 방문 중인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및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난 자리에서 "러시아가 전쟁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북한군들"에 대한 논의를 했다고 CNN은 전했다. 또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를 하며 북한군의 우크라이나전 개입에 대해 논의를 한 데 이어, 소셜미디어 텔레그램에 올린 글을 통해 "오직 한 가지의 결론만 있을 뿐이다"라며 "이 전쟁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국경을 넘어 국제화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반면 북한에서는 최선희 외무상이 28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가운데 30일에는 모스크바를 방문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최 외무상과 면담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지만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이 진행되는 상황 속에 추가적인 협력 논의가 오갈 것이라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초당파 싱크탱크 미국평화연구소는 "북한의 직접 참전은 푸틴이 평화를 위해 어느 것도 양보할 계획이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러시아의 전체적인 전략은 우크라이나가 평화를 호소하는 수준까지 압박을 지속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했다.
다만 파병 북한군들이 어떠한 임무를 맡게 될지는 아직 불분명한 상태이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파병 병력 중 많은 수는 '폭풍군단'으로 알려진 특수부대로, 북한은 이들 병력의 훈련도와 임무 수행 능력이 우수하다며 정규 러시아군보다 전투력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시에 북한은 파병 병력들이 실전 경험을 쌓으려는 목적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국정원은 북한이 올해 말까지 총 1만900명의 병력을 러시아에 파병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대해 서방의 다른 소식통은 "(파병 병력) 수가 늘어날 수 있다"고 CNN에 말했다. 그는 "전 세계 동맹과 파트너들은 이 문제를 예의주시하면서 선제적으로 정보를 공유할 것"이라며 "이는 유럽·대서양과 인도·태평양 지역 및 그 너머의 안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