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LG·한화·LX 등 국내 주요 그룹 계열사, 잇따른 UNGC 가입으로 ESG 경영 가속화

2024-05-27 15:54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국내 주요 그룹 계열사들이 ESG 국제 협약 중 하나인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에 잇따라 가입하며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연철 UNGC 한국협회 사무총장은 이러한 추세의 배경을 두고 "글로벌 투자자들이 ESG 공시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엄격히 보고 있다"면서 "UNGC는 회원사들이 잠재적인 시장 기회를 포착하고, 규제 리스크 관리에 발 빠르게 대처해 ESG 경영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UNGC에 가입한 기업 관계자는 "유수의 기업들이 UNGC뿐만 아니라 다양한 글로벌 이니셔티브 활동을 통해 ESG 경영에 힘쓰고 있다"며 "중장기 사업 비전 달성을 위해 지속 가능 경영 기반을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설정

미국 1015곳·독일 1219곳· 프랑스 2072곳 등 주요국 기업 가입 비율 높아

유연철 UNGC 한국 사무총장 "ESG공시 관심 증가로 UNGC 가입 늘 것"

지난 17일 서울 더 플라자 호텔 서울서 열린 UNGC-NBIM 기업 청렴성 포럼에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유연철 UNGC 한국협회 사무총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UNGC 한국협회 제공
지난 17일 서울 더 플라자 호텔 서울서 열린 UNGC-NBIM 기업 청렴성 포럼에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가운데)과 유연철 UNGC 한국협회 사무총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UNGC 한국협회 제공]

국내 주요 그룹 계열사들이 ESG 국제 협약 중 하나인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에 잇따라 가입하며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7일 UNGC 한국협회에 따르면 2005년 한국전력공사의 첫 가입 이래 국내 활동 기업 수는 총 291곳까지 늘어났다.

특히 지난해 59곳의 기업이 가입해 연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올해 상반기만 해도 벌써 28곳의 기업이 가입을 완료했다. 2008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가입 기업 수가 10곳 이내에 머물렀던 점을 고려하면 이는 큰 증가폭이다.


이러한 추세는 기업들의 지속 가능한 경영에 대한 관심과 책임 의식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UNGC는 세계 최대의 기업 지속가능성 자율 협약으로, 기업이 인권·노동·환경·반부패 4개 핵심 가치 분야의 10대 원칙을 운영과 경영 전략에 내재화하도록 지원하고자 유엔(국제연합·UN)이 2000년 뉴욕 UN 본부에서 발족했다.

10대 원칙은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권의 실질적인 인정 △고용·업무에서 차별 철폐 △환경친화적 기술의 개발·확산 촉진 등을 주요 골자로 한다.

현재 전 세계 160여 국가의 2만1929개 기업이 참여 중이다.

주요 국가별 기업 활동 현황은 △미국 1015곳 △중국 1038곳 △일본 574곳 △독일 1219곳 △프랑스 2072곳 △영국 852곳 △스페인 1538곳 등으로 주요 선진국의 기업 가입 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국내에서는 이미 삼성, SK, 현대, LG, 한화, 효성, LX, 포스코, 롯데 등 주요 그룹뿐만 아니라 국민은행, 신한은행, 미래에셋 등 주요 금융사와 한국전력,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기업이 참여 중이다.

올해 LX인터내셔널과 한화비전, LG유플러스,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28개 기업이 가입했으며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중공업, 현대차증권, LX판토스, SK바이오팜 등 59곳이 가입한 바 있다.

최근 가입 추세와 날로 높아지는 ESG에 대한 관심을 고려했을 때 향후 가입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유연철 UNGC 한국협회 사무총장은 이러한 추세의 배경을 두고 "글로벌 투자자들이 ESG 공시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엄격히 보고 있다"면서 "UNGC는 회원사들이 잠재적인 시장 기회를 포착하고, 규제 리스크 관리에 발 빠르게 대처해 ESG 경영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UNGC에 가입한 기업 관계자는 "유수의 기업들이 UNGC뿐만 아니라 다양한 글로벌 이니셔티브 활동을 통해 ESG 경영에 힘쓰고 있다"며 "중장기 사업 비전 달성을 위해 지속 가능 경영 기반을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연철 UNGC 한국협회 사무총장 사진UNGC 한국협회 제공
유연철 UNGC 한국협회 사무총장 [사진=UNGC 한국협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