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마지막 금통위…붉은색·푸른색 넥타이 '반반' 의미는?

2024-05-23 09:41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 위원들이 23일 붉은색 넥타이와 푸른색 넥타이를 '반반'씩 나눠 매고 팽팽한 긴장감을 조성했다.

    과거엔 금통위 의장인 총재의 넥타이 색깔이 붉은색 계열이면 기준금리 '인상'으로, 푸른색 계열이면 '인하'나 '동결'로 해석됐다.

    금통위원들이 이를 활용해 붉은 계열과 푸른 계열의 팽팽한 맞대결을 보여주며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복잡한 심경을 내비친 것 아니겠느냐는 해석이 나온 것이다.

  • 글자크기 설정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40523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운데)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이 총재와 왼쪽에 위치한 신성환·유상대·김종화 의원은 붉은 계열의 넥타이를 맸다. 맞은편에 앉은 장용성·황건일 위원은 푸른 계열 넥타이, 이수형 위원은 푸른 계열 정장을 착용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 위원들이 23일 붉은색 넥타이와 푸른색 넥타이를 '반반'씩 나눠 매고 팽팽한 긴장감을 조성했다. 불안한 물가, 깜짝 성장한 1분기 경제성장률, 고환율 등 속 기준금리 결정에 앞서 한은의 복잡한 속내를 보인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이날 서울 중구 한은 금통위 회의실에는 6명의 금통위원이 먼저 입장하고 오전 9시 정각에 이창용 한은 총재가 착석했다. 이날 이 총재와 신성환·유상대·김종화 의원은 붉은 계열의 넥타이를 맸고 반대편에 앉은 장용성·황건일 위원은 푸른 계열의 넥타이를 착용했다. 이수형 위원은 넥타이 대신 푸른 계열의 정장을 차려입었다.

이 총재를 제외하면 붉은 계열 3명, 푸른 계열 3명으로 분류된다. 통상 총재의 넥타이 색깔은 금리 결정 방향을 시사하는 시그널로 읽혀왔다. 과거엔 금통위 의장인 총재의 넥타이 색깔이 붉은색 계열이면 기준금리 '인상'으로, 푸른색 계열이면 '인하'나 '동결'로 해석됐다. 금통위원들이 이를 활용해 붉은 계열과 푸른 계열의 팽팽한 맞대결을 보여주며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복잡한 심경을 내비친 것 아니겠느냐는 해석이 나온 것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40523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날 금통위는 올해 상반기 마지막 통방 회의이자 김종화·이수형 신임 위원의 첫 금통위로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시작됐다. 이 총재가 등장하며 넥타이 색깔 구도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자 신성환 위원이 활짝 웃으며 "안 놀라시네요?"라고 농담을 던졌고 금통위원들은 모두 활짝 웃었다. 이 총재는 "그렇게 좌절할 게 아니라 새로 오신 두 분에게도 (의견을) 여쭤봐야죠"라면서 "편하게 하세요"라고 분위기를 이끌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현재 3.50%인 기준금리의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경제 전문가들과 시장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본격적 인하 논의를 하반기로 미룰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2월부터 올해 4월까지 10차례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모두 동결된 바 있다.

11회 연속 동결이 예상되는 가장 중요한 근거는 여전히 불안한 물가 흐름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2월(3.1%)과 3월(3.1%) 3%대를 유지하다가 4월(2.9%) 석 달 만에 2%대로 내려왔다. 하지만 과일을 비롯한 농축수산물이 10.6%나 뛰는 등 2%대 안착을 확신할 수 없는 상태다.

금리 인하에 신중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태도도 한은 동결에 무게를 싣고 있다. 미국이 피벗을 서두르지 않는데, 한은이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등의 위험을 감수하고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내려 이미 역대 최대 수준(2.0%p)인 두 나라 간 금리 격차를 더 키우기 어려운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