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 / 내 볼에 와 닿던 네 입술을 뜨거움 / 사랑한다고 사랑한다고 속삭이던 네 숨결 / 돌아서는 내 등뒤에 터지던 네 울음. / 가난하다고 해서 왜 모르겠는가 / 가난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 이 모든 것들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가난한 사랑노래’ 중에서)
서민들의 아픔과 상처를 어루만져온 문단의 원로 신경림 시인이 22일 오전 8시 17분께 별세했다. 향년 88세.
암으로 투병하던 신 시인은 이날 오전 경기도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숨을 거뒀다. 빈소는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질 예정이다.
문인들은 고인과 그의 작품이 한국 현대시와 문단에서 차지하는 높은 위상을 고려해 장례를 주요 문인단체들이 함께하는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치를 계획이다.
1935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충주고와 동국대 영문과를 졸업했다. 동국대 재학 중이던 1956년 ‘문학예술’지에 ‘갈대’, ‘묘비’ 등의 작품이 추천돼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며, 1973년에 농민들의 한과 고뇌를 담은 첫 시집 ‘농무’를 펴냈다.
고인은 이후 반세기 넘는 시간 동안 ‘새재’(1979), ‘달 넘세’(1985), ‘민요기행 1’(1985), ‘남한강’(1987), ‘가난한 사랑노래’(1988), ‘민요기행 2’(1989), ‘길’(1990), ‘갈대’(1996),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1999), ‘낙타’(2008), ‘사진관집 이층’(2014) 등의 시집을 써냈다. ‘한국 현대시의 이해’(1981), ‘삶의 진실과 시적 진실’(1983), ‘우리 시의 이해’(1986) 등의 시론·평론집도 내놨다.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 조용히 울고 있었다. /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 까맣게 몰랐다./ 산다는 것은 속으로 이렇게 / 조용히 울고 있는 것이란 것을 / 그는 몰랐다.”('갈대' 전문)
신 시인은 생전에 만해문학상, 단재문학상, 대산문학상, 시카다상, 만해대상, 호암상 등을 수상했으며,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 동국대 석좌교수를 지냈다.
고인은 군부독재의 칼날이 서슬 퍼렇던 1980년대에 자유실천문인협의회 고문, 민주화청년운동연합 지도위원, 민족민주통일운동연합 중앙위원,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민예총) 상임의장 등 재야 운동단체들에서 자리를 맡아 민주화 운동을 펼쳤다. 1990년대에는 대표적인 진보성향 문인단체인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을 역임했다.
서민들의 아픔과 상처를 어루만져온 문단의 원로 신경림 시인이 22일 오전 8시 17분께 별세했다. 향년 88세.
암으로 투병하던 신 시인은 이날 오전 경기도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숨을 거뒀다. 빈소는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질 예정이다.
문인들은 고인과 그의 작품이 한국 현대시와 문단에서 차지하는 높은 위상을 고려해 장례를 주요 문인단체들이 함께하는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치를 계획이다.
1935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충주고와 동국대 영문과를 졸업했다. 동국대 재학 중이던 1956년 ‘문학예술’지에 ‘갈대’, ‘묘비’ 등의 작품이 추천돼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며, 1973년에 농민들의 한과 고뇌를 담은 첫 시집 ‘농무’를 펴냈다.
고인은 이후 반세기 넘는 시간 동안 ‘새재’(1979), ‘달 넘세’(1985), ‘민요기행 1’(1985), ‘남한강’(1987), ‘가난한 사랑노래’(1988), ‘민요기행 2’(1989), ‘길’(1990), ‘갈대’(1996),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1999), ‘낙타’(2008), ‘사진관집 이층’(2014) 등의 시집을 써냈다. ‘한국 현대시의 이해’(1981), ‘삶의 진실과 시적 진실’(1983), ‘우리 시의 이해’(1986) 등의 시론·평론집도 내놨다.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 조용히 울고 있었다. /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 까맣게 몰랐다./ 산다는 것은 속으로 이렇게 / 조용히 울고 있는 것이란 것을 / 그는 몰랐다.”('갈대' 전문)
신 시인은 생전에 만해문학상, 단재문학상, 대산문학상, 시카다상, 만해대상, 호암상 등을 수상했으며,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 동국대 석좌교수를 지냈다.
고인은 군부독재의 칼날이 서슬 퍼렇던 1980년대에 자유실천문인협의회 고문, 민주화청년운동연합 지도위원, 민족민주통일운동연합 중앙위원,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민예총) 상임의장 등 재야 운동단체들에서 자리를 맡아 민주화 운동을 펼쳤다. 1990년대에는 대표적인 진보성향 문인단체인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