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 추미애 '대세론'에...우상호 "권력 서열 2위 당대표가 결정하냐"

2024-05-14 11:1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제22대 전반기 국회의장에 6선이 되는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당선자가 유력시 되고 있다.

    그는 '추 당선자가 국회의장이 되면 이 대표의 대권가도에 도움이 되겠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국회가 할 일을 하면 도움이 된다"며 "국회 다수당이 제안하는 법이 효능감 있게 통과 돼서 실제 국민의 피부에 닿는 정책으로 펼칠 수 있게 한다면 차기 유력주자인 이 대표에게 당연히 도움될 것"이라고 답했다.

    경선이 2파전으로 좁혀진 것에 대해선 "당심이 곧 명심이고 명심이 곧 민심"이라며 "당심과 민심을 제대로 수용해 개혁 정치를 해내는 국회로 힘을 모으는 게 당심을 받드는 것, 민심에 부합하는 것이고 당 대표이면서 차기 유력 대권주자인 이 대표의 마음"이라고 설명했다.

  • 글자크기 설정

추미애 "당심이 곧 명심, 명심이 곧 민심"

우상호 "추미애, 정치적 쟁점 언급 삼가라"

더불어민주당 소속 추미애 국회의장 후보가 지난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조정식 후보와 단일화를 논의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소속 추미애 국회의장 후보가 지난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조정식 후보와 단일화를 논의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22대 전반기 국회의장에 6선이 되는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당선자가 유력시 되고 있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당초 민주당 국회의장 경선 후보는 4파전 양상을 보였지만 경쟁자였던 조정식(6선)·정성호 의원(5선)이 일제히 사퇴하면서 경선은 추 당선자와 우원식 의원(5선)으로 좁혀졌다.
 
하지만 조 의원과 단일화를 이룬 주류 친명(친이재명)계 추 당선자를 우 의원이 이기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명심(이재명 민주당 대표 의중)대로 교통정리가 되면서 '어의추(어차피 국회의장은 추미애'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추 당선자는 이날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도 이 대표와 '공생관계'임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추 당선자가 국회의장이 되면 이 대표의 대권가도에 도움이 되겠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국회가 할 일을 하면 도움이 된다"며 "국회 다수당이 제안하는 법이 효능감 있게 통과 돼서 실제 국민의 피부에 닿는 정책으로 펼칠 수 있게 한다면 차기 유력주자인 이 대표에게 당연히 도움될 것"이라고 답했다.
 
경선이 2파전으로 좁혀진 것에 대해선 "당심이 곧 명심이고 명심이 곧 민심"이라며 "당심과 민심을 제대로 수용해 개혁 정치를 해내는 국회로 힘을 모으는 게 당심을 받드는 것, 민심에 부합하는 것이고 당 대표이면서 차기 유력 대권주자인 이 대표의 마음"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러면서 "강요가 있거나 한 것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그는 "여당의 눈치를 보고 중립이라는 미명 하에 회피하거나 무책임한 정치를 보였는데 저는 책임을 묻는 정치를 하겠다"며 "전임 의장님들과는 다르게 책임정치를 보여드리겠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추 당선자는 22대 국회 원 구성 협상을 놓고는 "당리당략으로 자리 한 자리 서로 뺐겠다고 보면 안 된다"며 "절박한 민심에 따라서 압도적 제1당으로서 민주당의 책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원 구성을 해야되고 입법 생산에 필요한 관문인 법제사법위원회와 운영위원회를 가지고 와야 한다"고 피력했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 추대'에 이어 국회의장 선거마저 명심이 나타나자 우상호 민주당 의원은 제동을 걸었다. 우 의원은 전날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서 "대한민국 권력 서열 2위를 당대표나 원내대표가 결정한다는 건 뭔가 잘못된 것 같다"며 "민주당은 상향식 공천, 당내 민주주의를 중시하는 정당인데 구도를 정리하는 일을 대표나 어느 대표나 관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일침했다.
 
추 당선인에 대해서는 "국회의장 되겠다고 나오신 분이 이런저런 정치적 쟁점에 대해 말씀하시는 건 좀 삼가실 필요가 있다"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