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주택사업 경기전망 하락…"금리인하·규제완화 불투명해진 탓"

2024-05-14 11:05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주택사업자들이 느끼는 5월 주택사업 경기전망이 전월보다 하락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2.0포인트(p) 하락한 74.1으로 전망됐다고 14일 밝혔다.

    비수도권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2.5p 하락한 70.6으로 나타났다.

  • 글자크기 설정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추이 자료주택산업연구원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추이 [자료=주택산업연구원]

주택사업자들이 느끼는 5월 주택사업 경기전망이 전월보다 하락했다. 금리 인하 시점이 불확실해지고, 총선 이후 정부가 추진하던 규제 완화 법 개정이 어려움을 겪게 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2.0포인트(p) 하락한 74.1으로 전망됐다고 14일 밝혔다. 
비수도권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2.5p 하락한 70.6으로 나타났다. 도 지역의 하락세가 전반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광역시권은 2.9p(72.5→75.4) 상승했고, 도 지역은 6.6p(73.5→66.9) 하락했다. 광역시권에서는 광주와 대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상승세를 보였고, 도 지역에서는 강원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하락세를 기록했다. 

최덕철 주택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총선 이후 정부가 추진하는 재건축 및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 규제 완화를 위한 법령 개정이 난항을 겪는 와중에, 미 연준 금리 인하 시점이 모호해지고 우리나라 금리 인하 시점 역시 불확실해지면서 주택사업자가 느끼는 사업경기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비수도권의 아파트 실거래가는 작년 10월부터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수도권과 비교했을 때 하락 폭도 커지고 있다. 또 작년 12월부터 미분양 물량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며, 지방도지역의 사업자들이 전망하는 사업경기는 부정적인 시각이 우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지방 광역시권은 울산 10.3p(64.7→75.0), 부산 8.7p(72.0→80.7), 대전 6.8p(71.4→78.2), 세종 1.3p(87.5→88.8) 순으로 상승 폭을 보였고, 광주 5.3p(63.6→58.3), 대구 4.6p(76.0→71.4) 순으로 하락 폭을 보였다. ­

광주는 두 달 연속 하락했는데, 지역 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로 광주지역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이 작년 12월 기준 8.1%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사업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대구는 준공후 미분양주택이 6개월 연속 증가하고 아파트 가격도 하락세를 보여 신규 사업 수주에 대한 부담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도 지역은 강원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이 하락했다. 충북이 19.8p(76.9→57.1)로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였고, 제주 12.8p(84.2→71.4), 경북 9.3p(77.7→68.4), 전남 8.8p(58.8→50.0), 충남 8.4p(75.0→66.6), 경남 3.4p(82.3→78.9), 전북 1.9p(66.6→64.7)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은 0.5p 상승한 90.8로 전망됐다. 인천은 5.7p(82.8→88.5), 경기는 0.5p(90.4→90.9) 상승했다. 수도권 지역 중 서울만 4.6p 하락한 93.1로 전망됐다.

수도권 전망이 상승한 것은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과 매매가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어 경기 회복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서울은 1월(65.9)부터 4월(97.7)까지 급등한 후 조정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주산연 관계자는 "수도권 지역 주택가격은 회복세를 보이는 반면 비수도권 도지역 주택시장은 침체기가 장기화되면서 주택가격 양극화가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자료주택산업연구원
5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자료=주택산업연구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