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 삼성D 부사장, 'SID 2024' 공로상 수상

2024-05-13 10: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청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부사장)이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가 수여하는 2024 스페셜 레코그니션 어워드에서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SID측은 이청 부사장을 수상자로 선정한 배경에 대해 "고해상도 OLED 디스플레이와 HOP기술 개발에 크게 기여하고, 프리미엄 OLED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 공로가 크다"고 밝혔다.

    HOP 기술은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저온 다결정산화물(LTPO) 박막트랜지스터(TFT) 기술로, 기존 저온 다결정실리콘(LTPS)와 산화물반도체를 결합해 전력 효율을 한층 개선, 프리미엄 스마트폰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 글자크기 설정

고해상도 OLED·저전력 HOP 기술 개발 공로

SID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제공
SID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디스플레이는 이청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부사장)이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가 수여하는 2024 스페셜 레코그니션 어워드에서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스페셜 레코그니션 어워드는 SID가 디스플레이 기술 및 업계 발전에 기여한 전문가에게 수여하는 공로상으로 1972년 제정됐다. SID에서 수여하는 다른 개인상과 달리 회원이 아니어도 받을 수 있으며, 올해는 이청 부사장을 비롯해 총 6명이 수상자로 선정됐다.
SID측은 이청 부사장을 수상자로 선정한 배경에 대해 "고해상도 OLED 디스플레이와 HOP기술 개발에 크게 기여하고, 프리미엄 OLED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 공로가 크다"고 밝혔다.

HOP 기술은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저온 다결정산화물(LTPO) 박막트랜지스터(TFT) 기술로, 기존 저온 다결정실리콘(LTPS)와 산화물반도체를 결합해 전력 효율을 한층 개선, 프리미엄 스마트폰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이 부사장은 포스텍 화학공학 박사 출신으로 1992년 삼성에 입사, 2012년 말 패널 개발 임원으로 승진해 갤럭시S 시리즈와 플렉시블 OLED 개발에 기여했다. 또한 2016년 개발 PA팀장을 역임하며 세계 최초 HIAA공법 개발 및 폴더블 OLED와 UHD 고해상도 노트북 개발 등에 기여했다. \

이후 2020년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 모듈 센터장, 2021년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 개발실장을 역임했다. 2023년부터 현재까지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을 맡으며 스마트폰과 IT용 OLED를 넘어 차량용까지 사업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한편 2024 스페셜 레코그니션 어워드 시상식은 오는 12일부터 17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SID 디스플레이 위크 2024 기간에 진행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