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의 지난해 평균 대출 연체율이 5%대를 기록하며 1년 전보다 악화됐다. 금융기관 부실채권 비중을 나타내는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수년 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어 건전성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여전히 자아내고 있다.
22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3년도 새마을금고 실적(잠정)에 따르면 전국 1288개 새마을금고의 평균 연체율은 작년 말 기준 5.07%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6월말보다 0.3%포인트 가량 개선된 수치이긴 하나 1년 전인 2022년 말(3.59%)과 비교하면 1.48%포인트 악화된 것이다. 지난 2021년까지 2%를 밑돌던(1.93%) 평균 연체율은 이듬해 연말 3.59%로 뛰었고 반기 만인 2023년 6월 5%대(5.41%)로 급등했다.
차주가 대출원금과 이자를 3개월 이상 상환하지 않아 발생한 부실채권을 가리키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작년 말 기준 5.55%로 파악됐다. 이 역시 1년 전과 비교해 2.5%포인트 급등한 것이다. 전체 새마을금고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2.36%, 2022년 6월 2.5%, 2022년 말 3.05%, 2023년 6월 5.47% 등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행안부는 새마을금고의 지난해 건전성 지표에 대해 고금리·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의 여파로 다소 조정됐다면서도 금융당국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한 연체관리·경영혁신을 통해 연체율 등 지표가 2023년 상반기에 비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문제는 앞으로 닥칠 상황이다. 당장 3.5% 기준금리를 1년 넘게 유지 중인 한국은행이 고금리 장기화 수순을 밟고 있다. 시장에서는 연내 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있지만 피벗(pivot, 통화정책 전환)의 전제조건이 되는 물가가 여전히 고공행진하고 있다. 부동산 경기 회복 또한 난망한 모습이고 건설사를 중심으로 한 부동사PF 부실 이슈도 2~3년간 구조조정 과정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경제여건이 국내 기업과 금융권에도 악영향을 미쳐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행안부는 "올해에도 고금리 지속, 자산가격 조정, 대출 증가율 하락 등 경제가 정상궤도로 조정되는 과정에서 연체율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금융당국의 질서있는 부동산개발 사업장 정상화·정리 기조에 발맞추는 한편, 손실흡수능력 확충, 적극적인 연체채권 매각, 채무조정 등 연체관리에 각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