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태영 줄서있다…2금융 건설업 연체율 1년 새 3배 급등

2024-01-15 15:52
  • 글자크기 설정

비은행권 부동산업 대출 2년 전 대비 25%↑

저축은행 고정이하여신은 1년 새 68% 급증

"2011년 저축은행 사태까지 번질수도" 우려 나와

서울 성동구 성수동2가에 위치한 태영건설의 성수 오피스 개발 사업 부지가 방치된 모습 사진박새롬 기자
서울 성동구 성수동2가에 위치한 태영건설의 성수 오피스 개발 사업 부지가 방치된 모습. [사진=박새롬 기자]
태영건설이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 개시로 겨우 부도 위기를 넘겼지만, 2금융권을 중심으로 제2의 태영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비은행권의 부실 지표가 1년 새 3배까지 급등하면서 부실 사업장을 정리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금융업권별 건설·부동산업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전체 금융권의 건설·부동산별 대출 잔액은 608조5000억원이다. 역대 최대 기록으로 전년인 2022년 3분기 580조8000억원보다 4.8% 늘었으며, 2년 전(497조6000억원)보다는 22.3% 급등했다.

2금융권만 따로 떼어보면 대출 규모는 더 심각하다. 비은행권(저축은행·새마을금고를 제외한 상호금융조합·보험사·여신전문금융회사)의 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2년 전 155조원에서 193조6000억원으로 24.9%나 증가했다. 또한 부실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대출 연체율을 따져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실제 지난해 3분기 비은행권의 건설 대출 연체율은 5.51%이며, 부동산 대출 연체율은 3.99%에 이른다.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년 새 3.1배, 2.6배로 뛰었다.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건설업이 7.34%, 부동산업은 5.97%로 집계됐다. 1년 전(2.20%·2.52%)의 3.3배, 2.4배 수준이다. 부동산업은 2018년 4분기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고, 건설업은 2017년 1분기(8.42%) 이후 6년 6개월 만의 최고 기록이다. 고정이하여신은 금융사가 내준 여신에서 통상 석 달 넘게 연체된 여신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금융사들은 보통 NPL이란 이름으로 부실채권을 분류해 둔다.

금융권 관계자는 "건설 경기 침체에 따라 연체율이 오르는 것"이라면서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때처럼 2017년 부동산 상승기 당시 2금융권에서 대출 규모를 너도나도 경쟁적으로 늘리면서 이때부터 발생한 연체가 누적된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선 1년 사이 빠르게 증가한 부실 지표를 두고 제2 태영건설이 생기는 것은 물론이고 심하면 2011년 저축은행 사태급 위기가 발생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경기가 활황이던 2007년 막대한 이익을 내며 부동산 사업 대출에 손을 댔지만 건설 경기가 무너지고 글로벌 금융 위기가 닥치자 대출금을 감당하지 못하고 차례로 쓰러진 때와 지금이 비슷한 상황이라는 이야기다.

당시를 반면교사 삼아 부실 사업장을 빠르게 정리하고 이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을 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국은행은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일부 부동산 관련 익스포저가 많은 예금취급기관의 경우 적극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며 "부동산 경기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부실자산 상·매각 등을 통한 관리에 소극적으로 임하면 부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