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유가 급등 없다면 물가 완만한 둔화"…내년 말 2% 근접

2023-12-21 00:00
  • 글자크기 설정

내년 4분기 물가상승률 '2.3%' 전망…중장기 목표 도달 시점 "늦어도 25년 초"

"주요 변수는 유가와 식량가격…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 기조도 둔화 저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3년 하반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31220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3년 하반기 물가안정목표 운영 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3.12.20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향후 국내 소비자물가 전망에 대해 "국제 유가 급등 변수만 아니라면 내년까지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물가 상승률은 내년 4분기 2.3% 안팎에 도달하고 이르면 내년 말, 늦어도 2025년 상반기에는 목표치(2%)에 도달할 것으로 봤다.

다만 이창용 한은 총재는 "앞으로 물가 기조는 지금까지보다 어려운 길이 될 것"이라며 긴장을 늦춰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20일 '2023년 하반기 물가안정목표 운영 상황 점검 설명회'에 참석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수요 측 압력이 약화된 가운데 공급 충격도 점차 줄어들면서 둔화 흐름을 보일 것"이라며 "지난달 유가와 농산물 가격 하락에 따른 급락(3.8%→3.3%) 대신 완만한 수준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1~2년간 국내 물가 등락은 유가가 주도했다는 게 한은 측 판단이다. 기저효과 영향으로 하락 폭을 키우던 석유류 가격은 지난 8월을 기점으로 급등했다. 이에 더해 기상 여건 악화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해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3.8%)은 미국과 유럽 수준을 웃돌았다. 특히 채소와 과일 가격이 여름철 폭우와 병충해 여파에 따른 생산 차질로 추석 이후까지 고공 행진했다. 

앞으로 물가 향방도 국제 유가와 식량 가격에 달렸다. 유가는 글로벌 수요 둔화와 석유수출국기구(OPEC) 외 산유국 증산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는 반면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감산 이슈와 중동 사태 등 지정학적 불안은 상방 리스크로 꼽힌다. 또 설탕 등 일부 곡물 가격 불안과 기상이변, 전기·도시가스·대중교통 등 공공요금 인상과 유류세 인하 폭 축소 같은 정부 정책도 내년 물가 둔화를 저해할 요소다. 민간소비는 양호한 고용 상황 속에 가계 실질구매력이 개선될 것으로 점쳐졌지만 통화 긴축 여파로 회복세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됐다.

물가 하락세가 확인되는 상황이지만 한은은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경계심을 유지했다. 이 총재는 "국내외 수요 부진 심화, 유가 하락 등 하방 리스크는 물론 중동 사태 등 지정학적 불안 고조에 따른 유가 반등, 비용 압력으로 인한 파급 영향 강화 등 (상방) 리스크도 혼재돼 있다"며 "물가 상승률을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한 마지막 걸음(last mile)은 지금까지보다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