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정부 압박에 못 이겨 추가 상생금융안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보험권도 유탄을 맞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시중은행권보다 높은 순익을 기록한 데 이어 그간 보험권 상생특화 상품 개발과 관련 지원안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기 때문이다. 올 초 10조원 규모 상생지원안 도출에도 이달 은행권이 재차 비판 대상인 된 것과 맞물려 보험권에 대한 자동차보험료 인하와 취약층 지원 압박이 다시 거세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6일 보험권 일각에서는 올해 상반기 보험사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10조원을 상회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새 회계제도(IFRS17) 가이드라인이 3분기부터 적용돼 일부 보험사 순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수 있겠지만 올해 상반기 9조1440억원 순익을 기록한 만큼 10조원은 무난히 넘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생명보험업계 당기순이익은 3조81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0% 늘었고 손해보험업계 당기순이익 역시 5조3281억원으로 55.5% 증가한 바 있다.
아울러 보험권에선 대형 보험사 실적 발표가 이뤄지는 이달에 정부의 따가운 시선이 보험권으로 옮겨질까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올 초 보험사들이 역대급 실적을 경신하자 은행권 상생금융안 도출 흐름과 맞물려 보험권에서는 해당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인색하다는 비판 여론이 고개를 들었다. 아울러 올 초 은행권이 3년간 10조원 규모 지원 효과를 창출하는 ‘은행 사회공헌 프로젝트’를 발표했음에도 이달 재차 비판 대상이 되면서 관련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보험사들은 기존에도 사회공헌위원회 등을 통해 상생 금융 활동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은행권 지원책과 대조된다는 지적도 여전하다. 금융권에서는 삼성·한화 계열 보험사의 일부 취약계층 보호 상품 외에 상생 금융 지원책이라고 내세울 만한 특화 상품이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아울러 가파른 순익 상승세가 이어지는 손보업계는 지난 8월 서울시 저출생 위기극복 기금 지원금액으로 40억원을 지원하는 데 그쳤다.
일각에선 내년 자동차보험료 인하나 실손보험료 인상률 조정 등으로 당국이 환원 압박 수위를 높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원칙적으로 보험료 책정은 보험사 고유 권한이지만 자동차보험은 의무가입 상품이라는 이유로, 실손의료보험은 가입자가 4000만명에 달해 사실상 '제2의 건강보험'으로 여겨지며 당국과 매년 요율을 논의한다.
특히 자동차보험은 단순 손해율만 보면 인하 여력이 있다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실제 올해 9월 상위 5개사(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메리츠화재) 자동차보험 누적 손해율은 78.3%를 기록했다. 손보사들은 통상 사업비를 고려해 '77~80% 초반대'를 적정 손해율 수준으로 본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달 16일 당국과 5대 금융지주가 간담회를 한 이후 상생금융 논의가 타 업권으로 옮겨붙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특히 보험권은 국민 생활물가와 직결되는 자동차·실손보험 요율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