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韓서도 계정 공유 제한…거주지 다르면 5000원 추가 비용

2023-11-02 15:36
  • 글자크기 설정
넷플릭스 계정공유 제한 이미지사진넷플릭스 홈페이지 화면 캡처
넷플릭스가 한국 홈페이지에 게시한 계정공유 제한 관련 이미지 [사진=넷플릭스 홈페이지 화면]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을 한국에서도 시행하기로 했다. 앞으로는 가족 구성원이어도 거주지가 다르면 추가 비용을 지불하거나, 새 계정으로 가입해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계정 뒤에 숨어있던 여러 이용자를 개별 회원으로 전환해 수익성을 확보하려는 전략이다.

넷플릭스서비스시스코리아는 2일 자사 홈페이지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계정 공유 제한 안내글을 게시했다. 이날부터 국내 이용자에 관련 메일을 발송하고, 이 정책을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넷플릭스는 해당 게시글에서 "넷플릭스 계정의 이용 대상은 회원과 함께 거주하는 분들, 즉 한 가구의 구성원"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르면 대표 이용자가 매달 5000원을 추가 지불해야 본인 계정에 외부 거주인 1인의 자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일종의 수수료를 내는 셈이다. 이외 외부 거주인이 직접 새 계정을 만들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비스별로 추가 가능한 외부 회원은 스탠다드 멤버십(월 1만3500원)이 최대 1명, 프리미엄 멤버십(월 1만7000원)이 최대 2명이다.

넷플릭스는 특정 이용자가 한 가구에 속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인터넷 주소(IP) 등을 확인해 판단한다. 넷플릭스 관계자는 "이용자가 서비스 가입 시 동의한 당사의 개인정보 취급 방침에 따라 IP와 기기 아이디, 계정 활동 등 정보를 활용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정책을 모르는 외부 거주인에겐 일일이 안내 메시지를 띄우기로 했다. 넷플릭스 관계자는 "함께 거주하지 않는 외부 이용자 혹은 외부 기기가 넷플릭스에 접근할 경우 서비스 안내 메시지가 표시된다"면서 "여기서 추가 회원 생성 등에 대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넷플릭스는 캐나다·뉴질랜드·스페인·포르투갈에 이어 올해 5월 미국 등 국가 이용자를 대상으로 계정 공유를 제한하고 있다. 국내는 올해 1월 31일 국내 홈페이지에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을 공지하며, 해당 정책 도입에 시동을 걸었다. 당시 업계에선 넷플릭스가 늦어도 연내 이를 실시할 거란 전망이 나왔다.

이번 정책 변경을 두고 국내 이용자가 다른 서비스로 이탈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다만 당분간은 콘텐츠 제작 역량 등에서 넷플릭스를 따라갈 사업자가 없는 만큼, 당장 이용자 이탈 문제는 없을 거란 게 업계 중론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간 수익성 둔화로 골머리를 앓아온 넷플릭스가 가입자 수 확대를 위해 강경책을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