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6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코니센터에서 SDC 2023을 열었다고 밝혔다. SDC는 2013년 처음 개최해 올해 9회째를 맞는다. 삼성전자의 소프트웨어,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비전과 혁신을 공유하는 글로벌 행사다.
이날 행사에는 전 세계 개발자와 파트너, 미디어 등 약 3000명이 참석했다. 기조연설 등 주요 프로그램은 온라인으로 생중계했다. 올해는 ‘캄 테크’ 관련 기술 혁신과 더불어 보다 안전하고 건강하고 지속 가능하며 즐거운 고객경험을 구현하기 위한 에코시스템 강화 방안을 소개했다.
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 겸 대표이사(부회장)는 기조연설을 통해 “연간 판매하는 삼성전자 제품의 개수가 5억대를 넘고, 연간 삼성계정을 이용하는 고객은 6억명이 넘는다”며 “모든 고객에게 보다 진화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맡은 바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용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연결 경험을 제공하는 스마트싱스·빅스비·삼성 녹스·타이젠 등 공통 플랫폼의 혁신 △스마트 TV·생활가전·갤럭시 스마트폰을 통한 제품 경험 확대 △수면·건강·푸드를 중심으로 한 헬스 경험 강화 방안 등을 폭넓게 소개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의 고객 경험을 확장하기 위해 '매터 지원 제조사 SDK(Software Developer Kit)'를 공개했다. 또한 스마트싱스 기반 앱 제작을 용이하게 해주는 '스마트싱스 홈 API'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허브 에브리웨어(Hub Everywhere)' 전략도 밝혔다. 사물인터넷(IoT) 허브를 탑재한 기기를 늘리고, 더 나아가 각 허브가 상호 연동해 더 강력하고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멀티 허브 네트워크(Multi Hub Network)' 기술을 소개했다. 또한 빅스비에 적용 중인 매터·HCA 연동 기기의 제어 기능은 내년 더욱 개선해 멀티 기기 연결 경험을 한 차원 높일 예정이다.
강력한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예컨대 플래그십 모바일 제품에만 적용했던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솔루션 '삼성 녹스 볼트'를 내년부터 갤럭시 A 시리즈와 스마트TV 등 다양한 제품으로 확대한다. 삼성 녹스 볼트는 지문, PIN, 패턴 등 기기 내 가장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한다.
아울러 타이젠을 세탁기, 오븐 등 더 많은 제품에 탑재하고,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와 '홈 AI 엣지 허브(Home AI Edge Hub)' 기술을 통해 보다 스마트하고 개인화된 홈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또 2022~2023년형 삼성 스마트TV와 스마트 모니터에서만 제공했던 삼성 게이밍 허브를 더 프리스타일 2세대, 오디세이 OLED G9 등 다양한 스크린에서 지원한다.
5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코니센터(Moscone Center)에서 개최된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SDC) 2023'에서 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 겸 대표이사(부회장)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