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내년 1월 새 교통카드인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한다. 이 카드를 이용하면 월6만5000원에 서울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까지 모두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들 노선은 서울 구간에 한해 무제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한강에 리버버스가 뜨면 이와도 환승이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승용차 이용이 줄고 대중교통 이용이 확대돼 기후환경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서울시는 보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1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서울에도 독일의 49유로티켓(D-Ticket)과 같은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이용권을 출시한다"며 고물가시대 가계부담을 덜어주고 기후위기 대응에 맞춰 대중교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후동행카드는 내년 1~5월 시범 판매하고 보완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한다.
이 카드는 6만5000원으로 구매해 한 달 동안 서울 권역 내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등 서울대중교통과 경의·중앙선 등 수도권 대중교통까지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서울에서 승차해 경기·인천 등 다른 지역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단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승차할 때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버스의 경우 서울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경기·인천 등 타지역 버스나 기본요금이 상이한 광역버스는 서울 지역 내라도 사용이 불가하다. 또 기본요금이 다른 신분당선도 제외된다.
지하철만 이용 가능했던 기존의 정기권에서 범위가 확장됐으며 이용 횟수 제한, 사후 환급 과정 등이 필요한 다른 교통패스와도 차별화된다.
실물 카드뿐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도 이용할 수 있고 실물 카드는 최초 3000원으로 구매한 후 매월 6만5000원을 충전해서 쓰면 된다.
서울 시내에서 타고 내리는 지하철 1∼9호선을 비롯해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1시간 이용권'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앞으로 한강 리버버스 등 새롭게 추가되는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시는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승용차 이용이 늘어나며 줄어든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사람들이 통행할 때 하루 중 이용하는 교통수단의 분포 비율)을 끌어올려 기후위기 대응의 단초를 마련한다는 목표다.
서울 시내 온실가스 전체 배출량 중 수송 분야 온실가스가 17%(약 763만t)를 차지해 이를 줄이려면 승용차 이용을 대중교통 수요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2021년 기준 서울의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은 52.9%로 2018년 65.1%보다 줄었다. 반면에 승용차 수단분담률은 같은 기간 24.5%에서 38.0%로 늘었다.
특히 최근 물가·에너지 비용이 큰 폭으로 오른 데다 버스 요금에 이어 내달 지하철 요금 인상도 예정돼 시민이 체감하는 가계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요금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도 내겠다는 게 시의 구상이다.
시는 종사자 100인 이상 기업에서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해 임직원에게 배부하면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추가적인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시는 기후동행카드 도입으로 연간 1만3000대가량의 승용차 이용이 줄고 연 3만2000t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약 50만명의 시민이 1인당 연간 34만원 이상의 할인 혜택(따릉이 이용 포함)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주중 승용차로 출·퇴근하거나 주말에 승용차를 타던 시민이 대중교통으로 수단을 전환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 수치다.
아울러 기후동행카드가 안정적으로 자리매김하면 인프라가 제한적인 지역의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에 도움이 되고 출·퇴근, 통학 외에 여가·문화 등 시민 활동 전반에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
국제 유가 상승이 이어지는 데다 범지구적으로 폭염·폭우·가뭄 등 기후위기 징후가 나타나면서 세계 여러 국가도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다. 서울 기후동행카드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고물가 시대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교통 대책이다.
독일은 지난해 6∼8월 약 1만2000원으로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9유로 티켓'을 실험 도입해 약 5000만장을 판매했다. 그 결과 대중교통 이용 25% 증가, 이산화탄소 180만t 저감, 물가상승률 0.7% 감소를 비롯해 교통혼잡 개선, 대중교통 신규 이용자 증가 등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달성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5월부터 월 49유로 '도이칠란트 티켓(D-Ticket)'을 본격 도입해 3개월여 만에 1100만장을 판매했다.
이외에도 프랑스 파리는 월 72.9유로 정기권을, 오스트리아는 연 1095유로 '기후 티켓'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오 시장은 "교통 분야 기후위기 대응은 친환경 버스 교체, 공공자전거 확대, 전기택시 보급 등 하드웨어 교체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핵심"이라며 "기후동행카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시민과 동행하는 교통정책을 계속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만 서울시가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하자 경기도는 강하게 반발했다.
경기도는 서울시의 발표 뒤 보도자료를 통해 유감을 표명하고 "사전 협의 없는 일방적 발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서울, 인천, 경기 등 3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협의체를 통해 도입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하나의 생활권을 가진 수도권의 교통 문제는 특정 지자체만의 일방적 노력이 아니라 3개 지자체 간 공동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난제다. 서울시는 독단적 정책 추진에서 벗어나 경기, 인천 등과 협력체계를 공고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내년 1월까지 약 4개월 간의 시간이 있으니 충분히(인천, 경기도와)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들 노선은 서울 구간에 한해 무제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한강에 리버버스가 뜨면 이와도 환승이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승용차 이용이 줄고 대중교통 이용이 확대돼 기후환경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서울시는 보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1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서울에도 독일의 49유로티켓(D-Ticket)과 같은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이용권을 출시한다"며 고물가시대 가계부담을 덜어주고 기후위기 대응에 맞춰 대중교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후동행카드는 내년 1~5월 시범 판매하고 보완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한다.
다시 말해 서울에서 승차해 경기·인천 등 다른 지역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단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승차할 때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버스의 경우 서울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경기·인천 등 타지역 버스나 기본요금이 상이한 광역버스는 서울 지역 내라도 사용이 불가하다. 또 기본요금이 다른 신분당선도 제외된다.
지하철만 이용 가능했던 기존의 정기권에서 범위가 확장됐으며 이용 횟수 제한, 사후 환급 과정 등이 필요한 다른 교통패스와도 차별화된다.
실물 카드뿐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도 이용할 수 있고 실물 카드는 최초 3000원으로 구매한 후 매월 6만5000원을 충전해서 쓰면 된다.
서울 시내에서 타고 내리는 지하철 1∼9호선을 비롯해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1시간 이용권'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앞으로 한강 리버버스 등 새롭게 추가되는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시는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승용차 이용이 늘어나며 줄어든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사람들이 통행할 때 하루 중 이용하는 교통수단의 분포 비율)을 끌어올려 기후위기 대응의 단초를 마련한다는 목표다.
서울 시내 온실가스 전체 배출량 중 수송 분야 온실가스가 17%(약 763만t)를 차지해 이를 줄이려면 승용차 이용을 대중교통 수요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2021년 기준 서울의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은 52.9%로 2018년 65.1%보다 줄었다. 반면에 승용차 수단분담률은 같은 기간 24.5%에서 38.0%로 늘었다.
특히 최근 물가·에너지 비용이 큰 폭으로 오른 데다 버스 요금에 이어 내달 지하철 요금 인상도 예정돼 시민이 체감하는 가계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요금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도 내겠다는 게 시의 구상이다.
시는 종사자 100인 이상 기업에서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해 임직원에게 배부하면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추가적인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시는 기후동행카드 도입으로 연간 1만3000대가량의 승용차 이용이 줄고 연 3만2000t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약 50만명의 시민이 1인당 연간 34만원 이상의 할인 혜택(따릉이 이용 포함)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주중 승용차로 출·퇴근하거나 주말에 승용차를 타던 시민이 대중교통으로 수단을 전환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 수치다.
아울러 기후동행카드가 안정적으로 자리매김하면 인프라가 제한적인 지역의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에 도움이 되고 출·퇴근, 통학 외에 여가·문화 등 시민 활동 전반에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
국제 유가 상승이 이어지는 데다 범지구적으로 폭염·폭우·가뭄 등 기후위기 징후가 나타나면서 세계 여러 국가도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다. 서울 기후동행카드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고물가 시대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교통 대책이다.
독일은 지난해 6∼8월 약 1만2000원으로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9유로 티켓'을 실험 도입해 약 5000만장을 판매했다. 그 결과 대중교통 이용 25% 증가, 이산화탄소 180만t 저감, 물가상승률 0.7% 감소를 비롯해 교통혼잡 개선, 대중교통 신규 이용자 증가 등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달성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5월부터 월 49유로 '도이칠란트 티켓(D-Ticket)'을 본격 도입해 3개월여 만에 1100만장을 판매했다.
이외에도 프랑스 파리는 월 72.9유로 정기권을, 오스트리아는 연 1095유로 '기후 티켓'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오 시장은 "교통 분야 기후위기 대응은 친환경 버스 교체, 공공자전거 확대, 전기택시 보급 등 하드웨어 교체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핵심"이라며 "기후동행카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시민과 동행하는 교통정책을 계속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만 서울시가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하자 경기도는 강하게 반발했다.
경기도는 서울시의 발표 뒤 보도자료를 통해 유감을 표명하고 "사전 협의 없는 일방적 발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서울, 인천, 경기 등 3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협의체를 통해 도입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하나의 생활권을 가진 수도권의 교통 문제는 특정 지자체만의 일방적 노력이 아니라 3개 지자체 간 공동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난제다. 서울시는 독단적 정책 추진에서 벗어나 경기, 인천 등과 협력체계를 공고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내년 1월까지 약 4개월 간의 시간이 있으니 충분히(인천, 경기도와)논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