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가 각 지역 내 풍부한 데이터 인프라와 규제 해소 등 지역 특화 지원책을 내세워 핀테크 기업 유치에 나섰다. 정부도 해외 진출 지원과 규제 완화 등 핀테크 기업 성장 정책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30일 금융위원회와 한국핀테크지원센터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금융위와 서울시 등 지자체들은 핀테크 정책에 대해 설명했다.
부산시는 금전적 지원에서 유리한 점을 내세웠다. 김동훈 부산시 금융블록체인 담당관은 “2000년 지역뉴딜 펀드를 전국 최초로 시행해 현재 자펀드까지 1300억원 규모로 조성했고 그중 60%는 부산시에 회사를 둔 기업에 투자 한다”며 “지사 설립이나 창업 고려 시 반영해 달라”고 말했다.
김 담당관은 부산이 국내 유일한 블록체인 규제자율 특구라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규제 자유 특례를 받아 부산시에서만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며 “마이데이터와 관련된 특례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을 이끌어낸 성공 사례가 많다”고 소개했다.
전라북도는 데이터 인프라를 무기로 꺼내 들었다. 국민연금공단과 협업해 국민연금 가입자와 카드·보험·증권 등 민간 운용사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병하 전라북도 금융사회적경제과장은 “국민연금공단과 함께 금융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를 구축했다”며 “데이터 안심 구역으로 지정받아 국민연금공단이 보유한 약 46억건에 달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핀테크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핀테크 기업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이날 '핀테크 혁신펀드' 2차 조성안을 확정 발표했다. 2020년부터 올해까지 5000억원을 지원했지만 향후 4년간 5000억원을 추가 조성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이로써 핀테크 기업은 8년간(2020~2027년) 총 1조원 규모 투자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또 혁신과 보안을 함께 가져갈 수 있도록 금융보안체계를 자율 보안 체계로 전환할 계획도 밝혔다. 이석란 금융위 금융혁신과장은 “보안 사고가 일어나면 그 후 규제가 강화될 수밖에 없다”며 “보안을 지키면서도 혁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주체를 선진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보안 규제는 세부 가이드라인 형태로 돼 있지만 그보다는 목표나 원칙을 제시하고 사후 책임을 강화하는 쪽으로 규제를 정비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