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가운데 9명 가까이 제품 구입을 결정할 때 해당 제품을 만든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10일 공개한 '자유시장경제와 기업 역할에 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87.3%는 '사회적 책임의 이행 수준이 높은 기업의 제품을 우선 구매하겠다'고 답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과 구매는 무관하다'는 응답은 9.9%에 불과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개인 삶의 질·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한 응답자는 87.5%에 달했다. 현재 기업들이 잘 수행하고 있는 사회적 책임 분야로는 소비자가치 제고(28.3%)를 가장 많이 꼽았고 지역사회 참여(16.7%), 지배구조 개선(16.2%), 친환경(15.7%) 등의 순이었다.
향후 기업들이 강화해야 할 사회적 책임 분야로는 고용안정·양질의 일자리 제공(20.8%), 오염방지·기후변화 대응(18.4%), 법규 준수 및 윤리경영(14.3%) 등을 제시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을 IMF 외환위기 이전과 비교했을 때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8.2%는 '신장했다'고 답했다. '유사하다', '약화했다'는 답변은 각각 27.0%, 12.8%였다.
전경련은 기업들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담보하기 위해서라도 사회적 책임 이행을 강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자유시장경제의 핵심 키워드로 '시장·소비자 권한 강화'(29.6%)를 꼽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개인과 기업의 경제적 자유와 창의'(24.7%), '시장 기능을 통한 효율적 자원 배분'(24.6%), '기업 간 경쟁을 통한 경제발전 촉진'(16.9%)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기업의 본질적 역할에 대해선 투자와 고용 확대(40.4%), 이윤 등 경제적 가치 창출(30.3%), 사회적 책임 강화를 통한 국민 삶의 질 개선(15.4%) 등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은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라도 시장과 소비자의 요구에 더욱 충실해야 하고 이를 위한 기업의 노력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10일 공개한 '자유시장경제와 기업 역할에 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87.3%는 '사회적 책임의 이행 수준이 높은 기업의 제품을 우선 구매하겠다'고 답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과 구매는 무관하다'는 응답은 9.9%에 불과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개인 삶의 질·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한 응답자는 87.5%에 달했다. 현재 기업들이 잘 수행하고 있는 사회적 책임 분야로는 소비자가치 제고(28.3%)를 가장 많이 꼽았고 지역사회 참여(16.7%), 지배구조 개선(16.2%), 친환경(15.7%) 등의 순이었다.
향후 기업들이 강화해야 할 사회적 책임 분야로는 고용안정·양질의 일자리 제공(20.8%), 오염방지·기후변화 대응(18.4%), 법규 준수 및 윤리경영(14.3%) 등을 제시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을 IMF 외환위기 이전과 비교했을 때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8.2%는 '신장했다'고 답했다. '유사하다', '약화했다'는 답변은 각각 27.0%, 12.8%였다.
기업의 본질적 역할에 대해선 투자와 고용 확대(40.4%), 이윤 등 경제적 가치 창출(30.3%), 사회적 책임 강화를 통한 국민 삶의 질 개선(15.4%) 등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은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라도 시장과 소비자의 요구에 더욱 충실해야 하고 이를 위한 기업의 노력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