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B 파산] 中 기술 스타트업·VC 흔들리나

2023-03-13 11:07
  • 글자크기 설정

[사진=로이터]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으로 중국 기술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털(VC) 부문에 공포감이 조성되고 있는 모습이다. SVB가 그동안 미국 자본과 중국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1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이날 중국 SNS인 웨이보에서 “SVB 파산의 여파가 여러 국가로 퍼져 나갔다”, “SVB 파산이 중국 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등 SVB 파산과 관련된 게시글이 수억 건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퍼지고 있다.
 
SCMP는 “중국의 대부분 스타트업과 은행이 SVB 파산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걸 꺼린다”며 “SVB를 미국 자본 시장에 대한 접근 기회로 여긴 중국 벤처기업가와 스타트업 기업가들 사이에서 이번 파산으로 우려가 일고 있다”고 전했다.

SVB 파산으로 인해 중국 및 홍콩증시에는 관련 기업들이 SVB와의 거래 여부에 대한 사실을 거래소에 공시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SVB 파산에 따른 타격이 그리 크지는 않은 모습이다.

일례로 브론커스홀딩스(02216.HK)는 SVB에 약 1180만 달러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이는 동사가 보유한 현금 및 현금 등가물의 6.5%로 리스크가 중대한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 또한 노아홀딩스(06686.HK)는 SVB에 1백만 달러 이하의 현금 및 현금 등가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이 역시 동사가 보유한 현금 총액의 0.2% 이하로 크지 않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 와중에 미국 정부가 이날 재무부, 연방예금보험공사, 연방준비제도 공동으로 예금자들의 예금 전액을 보증한다고 밝혀 우려는 한층 완화될 전망이다.
 
신뢰도 문제
하지만 예금을 보장받는다고 하더라도 SVB 파산에 따른 신뢰도 저하는 결국 피해갈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여러 전문가들은 SVB 파산 이후 앞으로 중국 스타트업들의 해외 자금 조달 문제가 부각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정레이 홍콩중문대학교 선전금융연구소 겸임 교수는 “미국에 상장된 많은 중국 기업이 초기에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 펀드로부터 투자받았다”고 설명하며 이번 SVB 파산이 비상장 중국 스타트업이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 펀드로부터 투자 받을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푸젠 허난 제진 로펌 이사는 “SVB의 파산은 외국 은행에 대한 중국 기업의 신뢰를 떨어뜨렸기 때문에 이들이 미국의 달러 자금을 고려할 때 더욱 신중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슐 CBJ 싱크탱크 애널리스트는 “SVB의 파산은 리스크 관리 능력이 떨어지는 중국 소규모 기술 스타트업들의 미국 달러 펀드에 대한 우려를 키울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중국 국영 투자은행인 CICC(중국국제금융공사)는 이날 보고서에서 “SVB의 주요 고객층은 과학기술혁신기업으로 유동성과 기술 순환에 매우 민감하다”고 밝혔다. 이어 보고서는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이 끝나지 않은 만큼 다른 은행들도 비슷한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며 “그 영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SVB 여파, 중국에서 제한적일수도
한편 중국 기술 스타트업의 특징을 감안할 때, 미국 SVB의 파산이 중국에선 제한적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전체적으로 중국 스타트업들의 해외 사업 규모가 크지 않아 노출도 역시 적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장슐 애널리스트는 “중국의 전체 신생 기업 규모는 제한적”이라며 “미국 은행에 대한 다양한 선택권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 신생 기업들은 대부분 자금을 중국에 투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메이퇀 같은 대기업의 경우 창업 초기에 SVB를 고려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회사가 일정 규모에 도달하면 빠른 회전율을 위해 다시 자금을 국내 은행에 예금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레이 홍콩중문대학 겸임 교수 역시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술 기업들이 SVB에 예금을 넣지 않았으면 직접적인 영향은 받지 않을 것”이라며 “SVB의 투자자와 채권자는 SVB 자산 구조 조정에 참여할 권리가 있기 때문에 여전히 손실을 복구할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