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10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은행권 저축성 수신(예금) 상품의 금리는 4.01%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0.63%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순수저축성예금은 3.97%, 시장형 상품은 4.27%다. 지난달 15일 기준으로 저축은행의 1년물 평균 예금 금리가 4.48%였던 점을 고려하면 차이가 거의 나질 않는다.
이후 시중 자금이 은행으로 몰리는 ‘역머니 무브’ 현상이 급물살을 탔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정기 예금 잔액은 이달 28일 기준 821조9486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654조9359억원)과 비교하면 167조원 이상 늘었다. 지난해 총 증가액이 40조원 수준에 그쳤던 점을 감안하면, 벌써 4배 이상의 돈이 유입됐다.
저축은행들의 수신(예·적금) 자금은 오히려 줄었다. 지금 같은 금리 인상기에 금융기관으로의 자금 유입이 빠르게 이뤄지는 점을 고려하면, 일반적인 흐름은 아니다. 같은 금융기관임에도, 저축은행이 아닌 은행을 선호하는 현상이 유독 두드러진 것이다.
전북은 7월 6871억원에서 8월 6687억원, 9월 6588억원으로 단계적 내리막길을 걸었다. 전남 역시 2498억원서 2489억원, 2448억원까지 몸집이 줄었다. 강원(2160억원→2020억원→1946억원), 울산(1630억원→1601억원→1548억원), 제주(360억원→354억원→351억원) 등도 분위기는 비슷했다.
증가세를 유지한 건 서울, 부산, 광주, 충남, 충북, 경북 정도다. 이 중 충북, 경북, 충남은 증가액이 150억원에도 채 못 미쳤다. 사실상 유의미한 증가세가 이어진 건 서울(68조2139억원→69조1533억원), 부산(7조104억원→7조1400억원), 광주(2조2861억원→2조9933억원) 등 3개 지역에 불과했다.
잔액 증가가 서울에만 지나치게 집중된 것도 문제다. 전월 대비 전체 증가액(1조2218억원) 중 서울(9394억원)이 차지한 비중은 77%에 달했다. 기존에도 문제시됐던 저축은행의 양극화 현상이 금리 인상기를 맞아 한층 더 심화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시중은행에 ‘수신금리 경쟁 자제’를 주문하며 시장 안정화에 나섰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 개입 전엔) 연 5%대 예금도 속속 등장했지만, 이제는 완전히 자취를 감춘 상황”이라며 “금리 경쟁력이 낮아진 만큼, 예금 잔액 증가 속도도 완만해지는 추세”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