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마저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대로 낮췄다. 세계경제 전망치도 2% 초반대의 낮은 수준을 유지해 세계시장에 저성장 경고등이 켜졌다.
2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내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로 0.4%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이번 OECD 전망치는 한국개발연구원(KDI)(1.8%)과 같고 국제통화기금(IMF)(2.0%), 국제신용평가사 피치(1.9%)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24일 전망치 발표를 앞두고 있는 한국은행 역시 8월 2.1%에서 1%대로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높다.
2.0%를 밑도는 성장률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0.7%),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9년(0.8%), 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5.1%), 2차 석유파동 영향을 받은 1980년(-1.6%)을 제외하면 없었다.
OECD는 민간소비가 그간 견조한 회복을 보였으나, 고물가에 따른 가처분소득 증가세 둔화 등이 향후 민간소비를 제약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봤다.
물가는 서비스·공공요금을 중심으로 당분간 높은 수준을 보이다 향후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물가 상승률은 3.9%, 2024년엔 2.3%를 제시했다.
OECD는 한국 경제에 대해 기대인플레이션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당분간 긴축적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재정건전화 지속이 필요하며, 고물가 압력 완화 및 급격한 고령화에 대비해 국회가 재정준칙을 채택할 것을 제언했다.
OECD는 세계경제 역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봤다.
내년 세계경제 전망치는 2.2%로 예상하면서 직전 수준을 유지했다. OECD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1970년대 이후 최고 수준의 에너지 위기가 발생하며 전 세계적인 고물가·저성장을 초래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시아가 2024년까지 글로벌 회복을 주도하는 가운데 유럽·북미·남미권의 경제 회복은 상당히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물가 급등으로 대다수 국가에서 실질임금이 하락하고 실질구매력이 축소되고 있어 현 시점의 정책 최우선순위 과제로 인플레이션 대응을 꼽았다.
고물가 대응을 위한 각국의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고물가 압력이 높은 국가에서는 통화긴축을 지속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세계경제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는 △에너지·식량 공급 차질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 취약성 부각 △신흥국 경기 위축 등을 제시했다.
에너지 공급 차질은 핵심적 하방요인으로, 유럽의 천연가스 수급 안정 노력에도 불구하고 겨울철 수급난이 심화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가스 가격 상승과 공급 차질은 저성장·고물가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금리 상승은 기업·정부·가계의 부채 상환을 어렵게 하며, 특히 저소득국가 및 신흥국의 어려움이 상당할 것으로 우려했다.